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결의 배열
선
선조
가는 홈
색대
d라이브러리
"
줄무늬
"(으)로 총 30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모양의 비밀을 밝혀 줘~!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그 다음 곡선의 대칭이동을 이용해 나비의 겉모양을 완성한다. 마지막으로 나비의
줄무늬
와 문양을 표현하기 위해 주기와 크기를 바꿔가며 한 좌표에 나타낸다.나비의 움직임을 함수로 표현하기도 한다. 바로 날개의 크기와 비행 속도의 관계가 그렇다. 각각 몸집과 비교하여 날개가 큰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역암 층이 형성돼 지금의 모습을 갖췄다. 벙글벙글의 암석층을 유심히 보면 빨갛고 검은
줄무늬
를 두르고 있다. 이는 샤크 만에서 봤던 시아노박테리아와 관련이 있다. 빨간 부분은 사암 속에 포함된 철 성분이 대기 중의 산소와 만나 산화된 흔적이고, 검은 부분은 시아노박테리아가 붙어 화석화된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가슴지느러미 양 옆에는 검은 반점이 한 쌍씩 있다. 몸 옆면에 폭이 넓은 노란
줄무늬
를 두르고 있어 전체적으로는 노란색을 띠고 있는 듯이 보인다. 황복이란 이름이나 누렁태라는 별명의 유래를 알 만하다.황복의 겉모습은 우스꽝스럽기 짝이 없다. 뚱뚱한 몸체와 크게 부푼 양 볼은 귀엽기도 하고 ... ...
호랑이는 왜 가로
줄무늬
를 가졌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수풀이 무성한 숲속에 홀로 서서 온 숲이 쩌렁쩌렁 울리도록 포효하는 호랑이. 힘찬 기상을 상징하는 호랑이의 모습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것은 화려한
줄무늬
가 아닐까 싶다. 그런데 왜 호랑 ... 계속 보시려면?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호랑이, 넌 누구냐호랑이는 왜 가로
줄무늬
를 ... ...
호랑이, 넌 누구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전 세계의 야생 호랑이들은 모두 아시아에 살고 있다. 그중에서도 한국은 호랑이가 전래동화에 자주 등장하고, 올림픽 마스코트를 ‘호돌이’로 정할 만큼 호랑이와 친숙하다.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호랑이, 넌 누구냐호랑이는 왜 가로
줄무늬
를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약 넉 달이고 4~6월에 5~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황갈색 바탕에 9~10개의 흰색
줄무늬
가 나 있어 다람쥐와 흡사하다. 멧돼지 새끼는 감기에 걸려 죽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비를 맞고 체온을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멧돼지는 땀샘이 없어서 추위와 더위에 아주 민감하다. 새끼는 생후 2년까지 ... ...
민물고기 별별랭킹 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별명을 갖고 있는 돌고기는 다른 물고기보다 몸통 빛깔이 밝으며, 검은
줄무늬
가 짙고 선명하답니다. 수염이 있으면 모두 메기?수염이 달린 물고기라면 으레 메기가 생각나죠? 하지만 수염이 달렸다고 모두 메기는 아니에요. 메기는 위턱과 아래턱에 각각 한 쌍의 수염을 갖고 있으며, 몸이 ... ...
우리 몸속의 민들레 꽃밭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둥글둥글한 모양이며, 펙틴이나 셀룰로오스로 이뤄진 세포벽에는 세로 방향으로 다양한
줄무늬
가 나 있다.배율 400배.마우스가족바이오문화상·초중등부 | 박지수·부산 연산초구멍에서 나온 아기 쥐들이 엄마 쥐를 따라 먹이를 찾아다니는 장면일까.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뎅이의 더듬이를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뚜렷이 보였던 것. 기존 광학 이론대로라면 설사 볼록렌즈가 있어 상이 확대되더라도
줄무늬
는 나타나지 않아야 한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떤 이유로 나노렌즈는 아베의 회절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까.큰그림 보러가기빛의 파장 크기로 광학렌즈 만들다“이 경우 중요한 요인은 렌즈의 모양이나 ... ...
몸속에 화학물질 쌓이면 당뇨병 위험 증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마치 온실인 듯 큼직한 화분에 담긴 식물들이 실내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연두색
줄무늬
블라우스를 입은 이덕희 교수는 자신의 연구에 관심을 보인 기자가 다소 의외라는 듯 처음에는 무슨 얘기를 해야 할 지 망설였다. 이럴 땐 자신의 지나온 길을 들려달라고 부탁하는 게 효과가 있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