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자"(으)로 총 60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안전하고 소화도 잘 돼. 양치식물은 건조한 곳에서는 그나마 찾을 수 없고. 물이 있어야 정자가 헤엄칠 수 있거든. 소나무 같은 겉씨식물은 물 없어도 잘 살지만 정말 맛 없어. 게다가 난 끈적끈적한 송진 한번 잘못 먹고 체하는 바람에 그날 하루 종일 고생했어. 그에 비하면 꽃식물은 정말 ...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씨앗기름이다.꽃은 밑씨를 두 번 수정시킨다. 꽃가루에는 정자가 두 개씩 들어 있는데, 정자 한 개는 난자세포와 결합해 배아를 만들고 다른 한 개는 밑씨 속의 다른 핵과 결합해 ‘내배유’, 즉 식량저장고를 만든다. 자식이 싹을 틔울 때를 대비해 엄마 꽃이 양분을 미리 저장하는 것이다. 이를 ...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과학동아 l2014년 03호
- 3배 이상 크다. 버스 교수는 이를 바탕으로 “사람은 1부다처를 따르는 고릴라보다는 정자 경쟁 수준이 높지만, 성생활이 난잡한 침팬지나 보노보보다는 훨씬 낮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 즉 ‘사람은 바람을 좀 피우지만 1부다처는 아니고, 그렇다고 극단적인 난교도 아니다’는 뜻이다. 그 지점이 ... ...
- 조상님도 뵙고 까마득한 후손도 만나고 한가위 타임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암컷이 여러 수컷과 짝짓기를 한다. 그래서 다른 유인원에 비해 정소가 크고 정자의 기능도 뛰어나게 진화했다. 고릴라는 수컷 최강자가 암컷들을 독점한다. 하지만 사람은 여성이 아이를 키우고 남성이 그들을 돌보는 일부일처제가 많다.기후변화 때문에 두 발로 일어섰다영국 요크대학교 이사벨 ... ...
- 한택식물원에서 즐기는 풋풋, 매콤 우리 산나물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산나물, 만나서 반가워!민서 언니, 여기 좀 봐! 산나물이 엄청 많아!우와~, 정말 그렇네! 곰취, 고사리, 머위…. 모두 우리 식탁에서 볼 수 있는 맛있는 산나물이잖아? 시장에서 파는 건 많이 봤지만 이렇게 자연에서 직접 만난 건 처음이야! 산나물? 독초? 헷갈려!우리 산나물에는 비타민이 많이 들 ... ...
- 정자(精子) 추적, 나노입자에게 맡겨봐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가운데 사진), 이들을 이용하면 정자의 움직임이나 DNA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정자를 추적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맨 오른쪽 사진).연구팀은 이 입자를 이용하면 불임의 원인을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 물질을 주입해 불임을 고치는 데에도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 ...
- [life & Tech] 동물은 어떻게 커플이 되었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암컷을 위해 준비한 선물이 커야 한다. 선물의 정체는 ‘양분’이 들어있는 정포다. 정자가 들어 있는 정포가 작을 경우 암컷은 짝짓기를 거부하고 떠나기도 한다. ‘다다익선’이라고 반딧불이 같은 미물도 선물을 좋아하는데 하물며 사람은 어떻겠는가. 작은 선물이 아니라 큰 선물이어야 무사히 ...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생각이 스쳐지나갔다. 줄기세포 구축에 필요한 재료들이 그동안 자신이 다루어왔던 정자와 난자, 배아였기 때문에, 이 분야도 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이 생겼던 것이다. “항상 만져왔던 재료들을 다른 방식으로 연구하는 것이 뭐 어렵겠냐고 쉽게 생각했던 것이죠. 당시 의학계에서 치열한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오럴섹스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여성이 성교 도중 오르가슴을 느끼면 자궁이 수축해 정자를 더 잘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물론 이 정도 연구로는 아직 사람이 오럴섹스를 하는 이유를 충분히 설명하기 어렵다. 어쩌면 문화적인 요인이 클 수도 있다. 그러나 동물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면 ... ...
- 6500만 년 전, 공룡이 사라진 땅에 작은 원숭이가 나타났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곤충을 먹었을 것으로 예측했다. 털이 없는 새끼를 한 번에 한 마리씩 낳았으며 수컷의 정자는 머리 부분이 평평했다. 전체적인 모양은 당시의 다른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오늘날의 쥐와 비슷했다.이상한 것은 나타난 시점이었다. 약 6600만 년 전으로, K/T 직전이었다. 이는 실제 화석 연구 결과보다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