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풍선, 우주를 보는 제3의 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올라간다. 액체 헬륨이 소진되면 임무 수행이 불가능했다. ASTHROS는 태양광 패널이 생산한 전기로 작동하는 극저온 냉각기를 달았다. ASTHROS는 40km 상공에서 21~28일 동안 비행하며 지구로부터 약 176광년 떨어진 젊은 별 ‘바다뱀자리 TW’를 관측하고 항성 피드백을 연구할 예정이다. 항성 피드백이란 ... ...
- 던전 앤 드래곤 : 도적들의 명예수학동아 l2023년 04호
- 게다가 배우가 고양이를 들어 올려야 해서 그 안에 모든 장치를 넣어야 했지요. 전기 장치들을 작게 만들어 넣어야 하니 애를 좀 먹었어요. Q ─ 용암과 불의 사실적인 묘사도 돋보여요.규모가 작은 용암은 실제로 촬영했어요. 하지만 이를 더 생동감 넘치고 거대하게 만든 건 모두 컴퓨터 그래픽 ... ...
- [Space Math] 우주시대 앞당기는 기술 적층제조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높아지며, 태양 에너지로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를 생산(저장)하고 수소 연료전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 기술을 우주에서도 활용하려면 수소 연료전지의 연료로 쓰이는 수소의 공급 효율을 높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용되지 않고 그냥 배출되는 수소를 다시 ... ...
- [기획] 암호화폐 벌면 기후변화 빨라지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유지하는 데는 1년에 114.3TWh(테라와트시)의 전기가 소모된다. 2021년 대한민국 전체의 전기 소모량(553TWh)의 20%에 달하는 양이다. 다행인 점은, 2022년 비트코인으로 인해 배출된 이산화탄소는 이전 해인 2021년보다 14.1%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대안금융센터는 이 감소의 원인이 암호화폐 채굴의 수익성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마블 역대급 빌런 정복자 ‘캉’ 앤트맨이 이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4D 물질은 자극감응성 재료로 만들어집니다. 자극감응성 재료란 온도, 화학물질, 빛, 전기장 등 다양한 자극에 따라 크기를 10배 이상 늘리거나 모양을 바꾸는 물질을 말합니다. 이런 물질을 프린팅하는 4D 프린팅 기술도 있습니다. 4D 물질 및 4D 프린팅 개발의 대가라 불리는 스카일러 티비츠 미국 ... ...
- 양자와 친구가 되는 곳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나노물질과 아주 가까운 거리에 있을 때 탐침에 전압을 가하면 탐침이 나노물질과 전기적으로 상호작용한다. STM은 이 상호작용을 이용해 나노물질의 특성을 관측하거나 나노물질을 조작한다. 1nm 거리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니, 작은 진동조차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진동을 줄이기 위한 장치는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많아요. 그래서 이를 구분해내는 기술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고 있답니다.●뉴런: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받아들이며 정보를 처리하는 신경세포. 플랑크톤 plankton 플랑크톤은 물에 둥둥 떠다니는 각종 동물, 식물, 세균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그리스어 ‘planktos(방랑자)’라는 ... ...
- [특집] 국내 최초 도입, 암 세포를 정조준할 탄소 탄환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일정한 궤도의 원 운동을 하는 하전입자(전하를 띤 입자, 여기서는 탄소 이온)에 전기장 혹은 자기장을 걸어 그 속도를 빛의 속도 가까이 끌어올리는 원형 가속기다. 세계 최대의 가속기인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충돌기(LHC)도 둘레가 27km에 이르는 싱크로트론이다. 연세 중입자 ...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탄소발자국이 늘어날 테니 지금부터 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현재 우리 삶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거의 모든 기기는 디지털 기술과 관련이 있습니다. 즉 현 시대의 탄소발자국 대부분은 디지털 탄소발자국일 수 있다는 거지요. 앞으로 디지털 탄소발자국은 더욱 커져갈 겁니다 ... ...
- [DGIST@융복합 파트너] KIM’s LAB 열과 전기의 마법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Kim’s Lab이 개발한 열전기술이 곧 광양제철소에 적용돼, 슬래브에서 나오는 복사열을 전기에너지로 재활용할 예정이다. 중희토 사용 반의 반으로 줄인다 ‘중희토 저감 영구자석’도 연구 주제다. 중희토는 희귀 금속인 희토류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무거운 원소를 뜻한다. 단기적으로는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