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만심
허영심
자존심
자만
거만
과장
만심
d라이브러리
"
자부심
"(으)로 총 271건 검색되었습니다.
4. 디지털 한류 이끄는 '별의 전사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그 전환의 신속성과 능력이다. 한국의 변화는 숨 가쁠 정도로 빠르다. 중국과 같이
자부심
이 강한 나라조차도 한국을 자신보다 훨씬 ‘창조적’인 국가로 간주하고 있다.중국인들이 이를 걱정할 만 하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세계인들은 ‘한국’하면 ‘저렴한 수공업품, 자전거 그리고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다른 대륙과 다른 인종, 자연에 대한 고유한 이미지, 위대한 대륙 미국과 미국인에 대한
자부심
을 함께 키워갔다. 현재 미국의 수많은 학교에서 이 잡지가 만든 각종 자료를 수업에 사용하는 등 과학 교육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잡지가 각국에 널리 보급되면서 내셔널지오그래픽의 렌즈는 더 ... ...
6. 아름다운 조선무 다리 예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아래로 길게 붙어 있다. 자신이 조선무 다리라고 실의에 빠진 여자들이 있다면 이제부터
자부심
을 가져보자. 한국 여자골프의 힘은 ‘롱다리, 쇼트허리’가 아니라 조선무 다리와 롱허리에서 나왔다는 사실을 상기하면서. 체간부, 말단부: 척추동물에서 몸의 중추를 이루는 부분을 체간부라고 하며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손톱만한 반도체 등 한국에서 개발되고 있던 첨단기술을 소개해 국내 기술에 대한
자부심
을 일으켰다. 과학교사와 함께 다녀온 생태탐사는 한국의 아름다움을 독자들에게 선보였다.특히 이 시기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포항공대가 문을 열어 많은 이공계 학생들의 주목을 받았다. ‘새로운 ... ...
스트루베와 뉴컴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시도를 한 상태였다. 그런 노력 중에 마침내 프로키온의 동반성을 발견하자 그는 대단한
자부심
을 느꼈으며 이 사실을 전세계에 알렸다.물론 미국 해군천문대의 뉴컴에게 이는 대단히 실망스런 소식이었다. 세계 최대 망원경을 가진 자신들이 먼저 발견하리라 기대했기 때문이다. 결국 엉뚱한 곳에 ... ...
아주 특별한 숫자 1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확신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1이 등장하는 꿈을 꾸었다면 현재의 생활에 만족하고
자부심
을 느끼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어떤 심리 분석가들은 1이라는 숫자가 나 자신, 즉 자아를 가리킨다고 말한다. 1이 꿈에 나올 때는 나 자신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1이 여러 번 반복되어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몸에 뱄다. 한국어도 유창하지만 영어가 더 편할 때도 많다. 하지만 그는 한국인이라는
자부심
이 대단하다. 부산에서 중학교를 다니던 1970년대, 한국은 힘없는 나라였다. 그는 원자폭탄 하나만 만들면 되겠다 싶었다.이갑신이라는 단짝 친구는 사업을 하고 윤 교수는 과학자가 되자고 약속했다.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의미가 있나요?A 우주센터를 만들고 발사체를 직접 쏘아올리는 우주개발 기술은 국민의
자부심
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대외적으로도 기술 강국으로 국가 이미지가 상승하게 되지요. 또 우리의 위성을 다른 나라에서 쏘아올리려면 발사하려는 위성의 모든 정보를 알려 주어야 합니다. 방위능력 ... ...
과천에 문 여는 과학 놀이터 - 국립과학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눈에 띄는 것은 지상의 첨성대와 천장의 천궁도. 한민족의 뛰어난 과학기술 전통에 대한
자부심
을 상징한다. 전시관을 둘러보는 방법은 관람객들의 맘이다. 전시관 5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돼 있어 원하는 전시관부터 골라서 관람할 수 있다.전시관에 들어설 전시물은 대부분 관람객들이 직접 작동해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는 포르셰의 브랜드 마크에서 따 왔다. 도시 속속들이 세계적인 자동차도시라는
자부심
이 묻어 있는 셈이다.그렇다면 혹시 슈투트가르트에서 여름과학축제가 열린 것이 자동차와 무슨 관계가 있진 않을까? 해답은 독일 정부가 올해를 ‘기술의 해’ 로 선정했다는 데 있다.1999년 독일 정부는 독일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