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쉬움
수월함
d라이브러리
"
용이함
"(으)로 총 671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름의 멋진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3월 23일이‘세계 기상의 날’이라는 것 알고 있나요? 세계기상기구 협약이 발효된 1950년 3월 23일을 기념하기 위해 세계기상기구는 1961년에 이날을‘세계 기상의 날’로 정했어요. 그러면 기상은 무슨 뜻일까요? 기상이란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모든 물리적인 현상을 말합니다. 태풍이나 비, 구름,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국내 유일의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가 지난 2월 8일로 가동 10돌을 맞았다. 1995년 차갑던 노심이 ‘마법의 불꽃’을 밝힌지 꼭 10년째를 맞은 것이다. 올해는 하나로가 최대 출력으로 운영되는 첫해이기도 하다.최대 출력 30메가와트(MW)의 이 원자로는 그동안 ‘선진 과학 입국’이란 기치 아래 국 ... ...
과학이 당신을 엿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국내 굴지의 기업 A사에 다니는 B모씨는 회사 메일을 열 때마다 마음이 불편하다. ‘혹시 누가 메일을 먼저 열어본 것은 아닌지’ 언제나 찝찝한 기분이다. 기업 비밀 유출을 막는다는 구실로 회사측이 개인 이메일을 열람하고 있다는 의혹이 몇년전부터 제기됐기 때문이다. 실제 A기업은 지난 2000 ... ...
우주의 닭이 머리 숙여 모이 쪼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닭이 새벽을 깨우며 목청껏 우는 소리도 인상적이지만 햇볕이 따뜻한 한낮에 마당 한쪽에서 병아리들과 함께 모이를 쪼아 먹는 모습도 정겹다. 2005년은 을유년(乙酉年)으로 닭의 해다. 우주에도 닭이 있다면 어떤 모습일까.2000년 11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을 보자. 마 ... ...
에어버스 보잉 차세대 여객기 격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지난 7월 19일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서는 유럽과 미국이 자존심을 걸고 불꽃 튀는 한판 승부를 펼쳤다. 유럽의 에어버스와 미국의 보잉이 자사의 최첨단 여객기를 선보이며 수주 전쟁에 뛰어든 것. 윤곽을 드러낸 에어버스의 A380과 보잉의 B7E7 드림라이너의 ‘대격돌’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슈퍼 ... ...
도시에도 바람길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건물과 도로가 빼곡이 들어선 서울 사람들은 이번 여름에도 다른 지역 사람보다 더위를 더 먹어야 했다. 실제로 지난 8월 1일부터 16일까지 서울은 9번의 열대야를 치른 반면 서울보다 위도가 약간 낮은 수원은 4번의 열대야가 있었다. 좀더 시골로 가면 열대야는 거의 없다.1천만명 이상의 사람이 ... ...
밑밥 뿌려 먹이 부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낚시 초보자들은 낚시터에서 하루 종일 허탕치기 일쑤이다. 좋은 자리를 보는 눈이 없어서이기도 하지만 밑밥을 뿌려 고기를 불러모으는 요령을 모르기 때문. 이런 초보 낚시꾼들은 굴올빼미에게서 한수 배워야 한다.작은 동물을 주로 잡아먹는 굴올빼미 집 주위에는 구수한 똥냄새가 진동한다. 특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얼마전 아돌프 히틀러의 유년 시절 그림이 인터넷에 공개돼 화제를 모은 적이 있다. 한 소장가가 웹에 히틀러의 그림을 올리자 다른 소장가들도 하나둘 그림을 인터넷에 공개하기 시작한 것이다. 히틀러의 개인사를 연구해온 한 연구자가 그의 유년시절 그림에 대한 소개를 덧붙이자 다른 민간 연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민간이 개발한 로켓기가 세계 최초의 상업용 유인우주선이 되는 역사적사명의 첫발을 내디뎠다.세사람을 태우고 최초로 우주를 다녀오는 비행체를 만든 팀에게 주어지는‘안사리 X 프라이즈’ 에 가장 가까이 다가간 스페이스십원은 앞으로 2주내에 같은 비행을 다시 할 예정이다.재료시험에서 시 ... ...
시뮬레이션으로 나노 세계 비밀 푼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신소재공학과 4층에 위치한 강정구 교수의 연구실은 의외로 텅 비어 있다. 한쪽 벽을 차지한 책장을 제외하면 눈에 띄는 ‘짐’ 이라고는 커다란 모니터뿐이다.강 교수는 지난해 KAIST에 부임하면서 미국 SGI사로부터 나노기술과 생명기술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를 기증받았다. SGI가 시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