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향"(으)로 총 7,582건 검색되었습니다.
- 끈이론 혁명을 주도한 물리학자의 물리학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때 이 둘을 동시에 만족하는 h의 최댓값을 ‘h지수’라고 해요. 연구자의 연구 생산성과 영향력을 알 수 있는 지표인데요. 위튼 교수의 h지수는 206이나 됩니다. h지수를 만든 호르헤 허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교수는 이 지수가 40이 넘으면 뛰어난 과학자라고 추정했는데, 이로 미루어 ... ...
- 무작위하다는 강력한 믿음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사례로 소개하며 앞면과 뒷면이 나올 확률은 각각 이라고 설명한다. 각 시행이 서로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시행’의 예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믿음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여도 될까? 수학적으로 어떤 것을 예측할 수 없으면 ‘무작위하다’고 말한다. 적지 않은 학자들은 동전 던지기가 ... ...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것이 있으니, 바로 스릴 넘치는 각종 게임이다. 배신, 속임수 같은 요소가 승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긴 하지만, 게임은 기본적으로 출연자들이 치열한 두뇌 싸움을 벌이게끔 설계돼 있다. 데블스 플랜에 푹 빠져 시청했다는 안정현 2017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금메달 수상자와 KAIST 퍼즐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사망률을 크게 줄인 사실을 보면, 조선 사회에서도 인두법이 집단 면역력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인다. 의혹 2.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전파했다? 지석영은 우두법을 최초로, 혹은 유일하게 조선에 소개한 사람도 아니다. 조선에 우두법을 소개한 최초의 문헌은 정약용이 179 ...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공급 방식과 선택적으로 굳혀 붙이는 방식도 달라지죠. 생산된 제품도 이 방식들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액상 계열의 소재는 적층성형 장비의 챔버 내에서 적정한 두께를 균일하게 바르고 선택적으로 응고시켜야합니다. 자외선 같은 특정 파장대의 광선을 이용하죠. 액상의 소재를 유지, ... ...
- 심해의 돌 속엔 배터리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보내지요. 그런데 과학자들은 다시 바다로 되돌려 보내는 물질이 해양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금속 광물을 골라낸 후 남은 물질을 바다로 버릴 때, 미처 골라내지 못한 미세한 입자 크기의 광물은 금방 가라앉지 않고 바닷물에 서서히 녹아들기 때문이에요. 이런 광물에는 ... ...
- 타임지 선정 현존하는 최고 물리학자, 수학과 물리학의 교차로 놓은 에드워드 위튼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수상했는데요. 물리학 이론을 이용해 수학 문제를 해결하고, 현대 수학에 지대한 영향을 준 공로 덕분이었습니다. 고전역학의 토대를 만들고 미적분학을 창시한 아이작 뉴턴을 떠올리면 물리학을 연구하는 사람이 당연히 수학도 연구한다고 생각하기 십상인데요. 뉴턴이 살던 17, 18세기를 너머 2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대해 크게 생각하지 않아요. 지금까지 운이 좋아서 여러 상을 받았지만, 그것이 연구에 영향을 끼치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Q. 수학과 물리학은 어떤 관계라고 생각하나요? 양자장론은 수학적으로 이해하기가 매우 어려워요. 지금까지 수학자들은 양자장론의 일부만을 엄밀하게 설명해냈어요. ... ...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고민이 이뤄져야 합니다. 놀랍게도 과학자들은 이미 20년 전에 유전체 연구의 막강한 영향력을 예상했습니다.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를 이끈 연구진이 2003년 4월 네이처에 발표한 ‘유전체 연구의 미래에 대한 비전’은 오늘날의 생각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1953년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한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혁신을 거듭한 유전체 분석 기술은 인간 유전체 분석을 넘어 생물학 현장 구석구석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적은 양의 시료로, 더 정확한 분석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물, 흙, 대기 중 먼지에 섞여있는 DNA를 검사해 생물을 찾아내는 환경 DNA(eDNA), 이미 멸종한 생물의 유전체를 재구성하는 고DNA(aDNA)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