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특
민첩
이익
이문
현명
약삭빠름
총명
d라이브러리
"
영리
"(으)로 총 353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동물의 집단지성을 다룬 ‘스마트 스웜’의 저자 피터 밀러는 “때로는 무리가
영리
한 개인보다 더 나은 결정을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개미 집단지성 능력은 특히 최적화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런 연구는 199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돼 지금까지 외판원의 이동 경로, ... ...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얼마 전 눈길을 끄는 기사가 한바탕 인터넷을 달궜다. 저녁형 인간이 아침형 인간보다 더
영리
하며 장차 돈을 많이 버는 직업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는 내용이었다. 아침에는 해롱거리다가도 밤만 되면 정신이 맑아지는 저녁형 인간(바로 기자다)이 반길 만한 소식이었다.스페인 마드리드대 심리학과 ... ...
수학 7대 난제 정말 풀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해결했다고 주장한 난제는 ‘새천년(밀레니엄) 상 문제’ 중 하나다. 미국에 있는 비
영리
민간 수학연구소인 클레이수학연구소에서 2000년에 해결하기 어려운 7개의 수학 난제를 선정했는데, 문제 하나를 풀 때마다 100만 달러(약 11억 원)의 상금을 주겠다고 해서 유명해졌다. 2002년 러시아 수학자 ... ...
PART 4. 구글 in Scienc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가족들과도 ‘Say hello~’를 할 수 있겠죠? 지난 2007년 유명한 연구가 있다. 구글의 비
영리
자회사인 구글닷오알지(google.org)는 공중보건전문가들과 전염병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그 중 독감에 대한 검색어를 분석했다. 사람들이 ‘독감’을 검색할 때 실제로도 ‘독감’이 퍼졌을 가능성이 ... ...
호랑이 없는 한반도는 담비가 王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바로 ‘협동’입니다. 보통 2~3마리가, 많게는 6마리가 함께 다닙니다. 담비는 매우
영리
하고 특정 장소를 기억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고라니가 낮에 쉬고 있을 만한 장소를 기억하고 찾아다닙니다. 쉬고 있던 고라니를 발견하면 한 마리는 고라니의 뒤를 쫓아갑니다. 고라니는 따라오는 담비가 ... ...
야생의 배꼽, 세렝게티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피하는 데엔 사람이 있는 곳이 최고거든요. 인기척 있는 곳엔 사자가 잘 안 오니까요. 저
영리
하죠?그건 그렇고, 여긴 세렝게티 한가운데잖아요. 야영을 한다면 버펄로를 만나는 것쯤은 각오하셨어야죠. 하이에나랑 사자보다는 낫잖아요. 텐트 옆으로 하이에나 무리가 다가와 컹컹거리며 위협하는 ... ...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착각하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 복제·복사·발현한다.바이러스는 세상 밖으로 나오기 위해
영리
한 행동을 한다. 적절한 시기가 되면 숙주가 단백질 캡슐 형태의 바이러스 포장재를 만들도록 유도한다. 단백질 캡슐로 포장된 바이러스 유전자는 숙주 세포를 용해시키고 세상 밖으로 나온다. 일종의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20세기 수학의 흐름을 바꾼 힐베르트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_힐베르트클레이 수학연구소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케임브리지 지방에 있는 사설 비
영리
재단으로, 수학을 널리 알리고 발전시키는 활동을 하고 있다. 2000년 5월 ‘오랫 동안 풀리지 않은 중요한 기본 문제’ 7개를 발표했다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가만히 들여다보면 뱀은 징그럽거나 무섭기보다는 오묘한 동물이다.뱀은 정말! 무섭다‘
영리
함’, ‘남을 해하려는 성격’, ‘욕심’…. 옛 사람들이 뱀 하면 떠올린 이미지다. 먹잇감이 눈치채지 못하게 은밀하게 다가가 자르거나 물어뜯지도 않고 한 입에 꿀꺽 삼키는 장면이 뇌리에 선명하게 와 ... ...
농사는 인류를 부자로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드물었지만 그렇다고 굶주리는 경우도 거의 없었습니다. 정착민을 노린 병원균의 ‘
영리
한’ 진화 반대로 농경 이후 질병은 늘어났습니다. 충치와 풍치를 예로 들어볼까요. 농경사회에서는 주식인 곡물에 물을 부은 뒤 익혀서 부드럽게 만들어 먹습니다. 우리가 밥을 짓는 모습을 떠올리면 되죠.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