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업"(으)로 총 4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미국유학일기] 여름방학이라 쓰고 '인턴십'이라 읽는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9) 때문에 온라인 인턴십으로 바뀌었다. 뉴욕에서 살아볼 수 없는 건 조금 아쉽지만, IT 업계와는 다른 서비스를 개발하며 새로운 경험을 하는 것만으로도 이번 인턴십이 충분히 좋다.나뿐만 아니라 캘리포니아공대 컴퓨터과학과 학생들은 대부분 이런 식으로 여름방학을 보낸다. 인턴십을 하는 ... ...
- CERN의 미래 가속기, FCC 지을까, 말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충돌을 일으키는 입자는 양성자가 아니다. 양성자 빔의 에너지가 충분히 크면 양성자가 업(위) 쿼크 2개와 다운(아래) 쿼크 1개가 글루온이라는 입자로 강력하게 묶인 구조(강한 상호작용)임을 볼 수 있다. 그 안을 좀 더 큰 에너지로 들여다보면 쿼크와 글루온들이 수없이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고 ... ...
- [세상을 바꾸는 여성 엔지니어] “틀을 벗어나면 새로운 게 보여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원하는지 파악하고 이를 기술적으로 해결하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술 창업을 꿈꾸는 청소년을 위한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Think outside the box! 기존의 틀을 벗어나 생각을 해보세요. 창의력을 조금만 발휘하면 굉장히 좋은 답을 찾을 수 있을 겁니다 ... ...
-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구축돼야 하고, AI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콘텐츠를 생산해 제공하는 기업들이 필요하다. 김 교수는 “민감한 개인의료정보에 어떻게 접근할지, AI 로봇 비즈니스의 생태계가 만들어지기 위해 어떤 플랫폼이 필요할지 고민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과학덕후들이 ... ...
- [독일유학일기] 단체 활동의 ‘무덤’인 독일에서 즐거움을 찾는 법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소극적이다. 또 지도교수와 함께 하는 경우가 많아서 동아리보다는 댄스 수업, 스포츠 수업 같은 느낌이 강하다. 그래도 스포츠 관련 동아리는 종류가 꽤 다양하다. 미식축구부, 모터보트부 등 흔치 않은 동아리도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이색적인 동아리는 단연 퀴디치 동아리다. 소설 ‘해리포터’ ... ...
- [진로체험] 반려견에 푹 빠진 수학 영재, 구원회 더식스데이 대표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숫자 데이터를 보고 이 수들이 무엇을 얘기하는지 현실과 연결해 읽어내는 능력도 업무에 큰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조언 한마디 해주세요!저처럼 수학을 좋아하고 공부하는 친구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인성이 정말 중요하다’는 거예요. 또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는 속담처럼 살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고구마 마차가 온 사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식물은 물을 빨아들이지 못해 말라죽게 된답니다. 2017년 문을 연 우리나라의 스타트업 스타스테크는 불가사리 추출한 물질을 섞어 도로 오염을 줄이는 제설제를 개발했어요. 불가사리는 물고기들의 먹이인 해조류, 수산자원인 어패류 등을 먹어치워 어민들에게 ‘바다의 말썽꾼’이라 불려요. 이에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소재로는 메타물질이 주로 사용된다. 2011년부터 투명망토를 개발해온 캐나다 기업 하이퍼스텔스는 2019년 10월 동영상을 통해 메타물질로 만든 원통형 렌즈를 촘촘히 배열한 플라스틱 패널을 공개했다(QR코드 참조). 동영상에서는 패널 바로 뒤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들이 보이지 않고, 그 뒤의 배경이 ... ...
- 음식물 쓰레기 줄이는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해결할 팀을 만들기로 결심했죠. 그러던 중 다행히도 비슷한 고민을 갖고 있던 공동 창업자 무함마드 파라스를 만났어요. 이 친구는 대학생 때 자신이 산 피자가 많이 남자, 기숙사 친구들에게 1조각 당 1000원에 팔았대요. 피자는 순식간에 매진될 정도로 반응이 폭발적이었죠. 이런 경험 덕분에 저와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겸직교수로 일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유일한 우주인으로서 열정과 사명감을 갖고 우주산업 시대에 맞춰 과학 대중화 활동에도 힘쓰고 있다. mcax17@gmail.com (굿바이! 또 만나요!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은 이번 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지금까지 사랑해주신 독자 여러분에게 감사드립니다.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