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상"(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승전의 ‘초(超)재료’] 초효율 전기모터 구현할 초자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청소기 그리고 최근 핫한 전기자동차까지. 오늘날 우리 주변에서 모터를 쓰지 않는 제품을 찾기는 힘들다. 그리 ...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2022년 대한금속학회 동국송원학술상을 수상했다. ‘모던 알키미스트’ 등의 책을 저술했다. szhan@kims.re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구독자 수는 1월 2일 기준입니다. 과일의 왕, 두리안 해부! 조회 수 : 44.9만 회채널명 : 수상한생선 Life Science (구독자 수 : 42만 명) 두리안은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자라는 커다란 과일이에요. 길이는 30~40cm나 되고, 무게는 무려 5kg 이상 나가기도 하죠. 특유의 고약한 냄새 때문에 동남아시아의 ... ...
- [인터뷰] 필즈상 허준이 교수 아버지 허명회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명예교수수학동아 l2023년 02호
- 2022년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교수(고등과학원 석학교수)가 필즈상을 수상하자, 많은 언론은 아버지 허명회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명예교수에 집중했다 ... 그냥 계속했다. 필즈상 수상(상금은 약 1500만 원)과 100억 원을 고르라고 한다면, 난 주저 없이 필즈상 수상을 고른다 ...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여자와 여자의 채티. 뭔가가 그 정도로 비슷하다는 게 과연 우연일까.모든 것이 수상했다. 무엇이 사람에게 최고의 친구가 될 수 있냐던 개발자의 질문. 그건 무슨 의미였을까. 천천히 기억을 훑어나갔다. 채티는 다른 채팅앱들과 무엇이 다를까. 채티는 고차원 벡터 기술을 적용한 인공지능 ... ...
- [뉴스&인터뷰]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더라도 우리가 소설을 쓸 이유는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단단한 사람이었다. 이 소설로 지난해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청소년 최우수상을 수상한 그에게 인공지능과 인간에 대해 물었다. Q. ‘이무강’이라는 필명이 독특하다. 작가 이무강과 ‘본캐’ 송유진은 각각 어떤 사람인지. 송유진은 한양대 사대부고 2학년. 새학기에 3학년이 되는 ... ...
- [에디터노트] 처럼 되기를…수학동아 l2023년 01호
- 하나 있습니다. 바로 허 교수를 수학자의 길로 인내한 입니다. 1970 필즈상 수상자인 히로나카 헤이스케 교수가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책이지요. 이 책에는 원하는 고등학교 입시에 실패한 학생이 피아니스트를 꿈꾸다 어떻게 대학교 3학년 때 수학의 길을 택하게 됐는지, 어떻게 미국 ...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양자정보과학을 발전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202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함께 수상한 알랭 아스페 프랑스 파리사클레대 교수와 존 클라우저 미국 존클라우저협회 창립자 모두 양자정보 시대를 여는 데 공헌했다. 이후 양자전송은 빠르게 발전했다. 2017년에는 차일링거 교수의 제자인 ... ...
- [논문탐독] 지구 속 험준한 지진파 산맥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마그마 바다에서 오늘날의 지구가 되기까지, 우리 행성은 끊임없이 진화해 왔습니다. 지구 곳곳에서 발생하는 지진과 화산 폭발은 지구가 현재도 꾸준히 활동하고 ... 2017년에 석사, 2022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22년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우수박사학위논문상을 수상했다. lac0312@snu.ac ...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양자컴퓨터 등 양자기술 시대를 여는 데 공헌한 공로로 2022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수상한 안톤 차일링거 오스트리아 빈대 교수도 양자전송을 연구했다. 1997년 세계 최초로 광자를 양자전송하는 데 성공한 일은 그의 최대 업적 중 하나다. 그런데 차일링거 교수는 “이것은 스타트렉에 나오는 것과 ... ...
- [이그노벨상] 똥과 오줌의 과학에 용감히 뛰어들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교수의 연구팀은 웜뱃이 정육면체 똥을 누는 이유를 밝혀내 두 번째 이그노벨상을 수상했다. 양 교수가 학회에서 내장 운동에 관한 모델을 발표한 직후, 누군가 이 모델이 웜뱃에게도 적용되는지 물어본 것이 연구의 시작이었다. 웜뱃은 오스트레일리아에 사는 유대류로 1m가 넘는 키에 40kg까지도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