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공"(으)로 총 946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테파(Olivier Vietti-Teppa)가 실제로 구현해 냈다. 레오나르도의 낙하산으로 제네바 650m 상공에서 뛰어내린 그는 ‘완벽한 점프(perfect jump)’라고 평가했다. 유일한 단점은 낙하산의 방향을 조종할 수 없어 어디로 착륙할지 모른다는 점이었다고. 해부학에 대한 욕망레오나르도의 작품이라고 하면 1487년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것이라고는 유리 사이사이에 설치된 철근 뼈대뿐이다. 겁이 없는 편이라고 자신하지만, 상공 500m에서 도시를 내려다 보니 나도 모르는 새 호흡이 빨라진다. 그런데 이때 빨라지는 건 호흡만이 아니다. 당신의 시간도 아주 조금 빨라졌다. 450m 도쿄 스카이트리 전망대 실험아인슈타인의 ... ...
- [시사과학뉴스] 한파, 강해지고 길어진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하지만 이를 동쪽으로 보낼 제트기류가 약해지면서 찬 공기가 오랫동안 우리나라 상공에 머물게 됐답니다. 서쪽에서 우리나라로 오던 따뜻한 공기도 여기에 가로막혀 더 이상 오지 못하지요. 그 결과 우리나라는 더 오랫동안 추위가 지속돼요. 올겨울은 라니냐 현상까지 겹치면서 유독 더 추울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거대한 건축물이다. 미르의 10배쯤 된다. 또 ISS의 궤도가 지구상에서 인구 밀접지역 상공을 지나고 있어 추락은 곧 재난이 될 수 있다. 역사상 가장 큰 우주 비행체가 역사상 가장 큰 우주 쓰레기로 전락할 수 있다(아래 사진). 그렇다면 ISS를 조각조각 분해해 지구로 회수하면 어떨까. 현재까지 ... ...
- Part 5. 별처럼 반짝반짝~ 캔, 인공위성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미국 모어헤드주립대학교의 로버트 트윅 교수가 지난 1998년 교육용으로 개발했어요. 상공 수백 미터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오는 짧은 시간 동안 위성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들었지요. 캔을 날리는 방법은 여러 가지예요. 발사체를 대신해 기구를 캔에 달아 띄우거나, 작은 로켓으로 하늘에 올릴 ... ...
- Part 3. [활약2] 지구를 넘어 화성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수집해요. 그리고 모어헤드 주립대가 개발한 ‘루나아이스큐브’는 달 표면에서 약 100km 상공을 돌며 얼음을 비롯한 자원을 찾을 예정이에요. 또 ‘바이오센티넬’이란 큐브샛은 효모를 사용해 생물체를 찾고, 미생물이 우주의 방사선에 노출됐을 때 얼마나 오래 생활할 수 있는지 알아볼 거예요 ... ...
- Part 2. 지구를 아슬아슬하게 스쳐가는 소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지역에서 일어난 운석 낙하 사건 때문이지요. 2013년 2월 15일, 러시아의 첼랴빈스크 상공 30km 높이에서 소행성이 폭발했어요. 위력은 히로시마 핵폭탄의 40배였고, 충격파로 건물의 유리창이 깨지고 1200명 가량의 주민이 피해를 입었지요. 당시 폭발한 소행성의 크기는 10m 정도로, 2012 TC4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어둠 속에 남겨진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타워’예요. 뉴욕의 ‘Clouds AO’라는 건축회사의 건축가들이 상상한 이 건물은 5만km 상공에 떠 있는 소행성에 매달려 있는 모양이에요. 건축가들의 아이디어를 보면 일단 우주 밖을 떠돌아다니는 소행성을 포획해서 지구 궤도 위에 놓아요. 그럼 소행성은 마치 달처럼 지구 중력에 의해 일정 ... ...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방법은 ‘정지 궤도’에 우주 기지를 놓고 그곳까지 케이블을 연결하는 거예요. 적도 상공 3만 6000km에 있는 정지 궤도는 지구를 공전하는 속도가 지구의 자전속도와 똑같아요. 다시 말해, 정지 궤도에 떠 있으면 계속 같은 곳만 보며 지구 주위를 돌 수 있답니다. 이 때문에 정지 궤도에 떠 있는 우주 ...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피부에 닿거나 코로 흡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어요.한편 지표와 가까운 20m 상공에서는 탄소, 나트륨등 다양한 화학물질이 들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어요. 미세먼지가 ‘보통’인 날이었지만 생각보다 다양한 화학 성분들이 발견됐지요.신관우 교수는 “앞으로 대기 환경 조건에 따른 높이별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