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관"(으)로 총 1,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화장실] 어디에 앉아 볼까? 기상천외 달 화장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카든의 팀, 미국-설명 : ‘접을 수 있는 개인 우주 비행사용 화장실’은 접은 상태로 보관하다 사용할 때가 되면 투명한 받침대에 끼운 후 공기를 넣어 부풀려 쓴다. 용변을 본 후에는 그대로 봉투를 분리하여 버리면 되어 편하다.-심사위원 한마디 : “아폴로 계획의 전통을 잇는 쓰고 버리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왕자님을 집으로 돌려보내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톤)이 넘고, 지금도 매일 150t이 넘는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지요. 이 오염수는 저장 탱크에 보관 중이지만, 일본 정부는 2022년에 탱크가 꽉 차면 오염수를 바다로 흘려보내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할 예정이에요(10월 27일 예정).이에 과학자들은 물에 녹아 있는 방사성 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개발에 힘을 ... ...
- [시사과학] 올겨울, 독감 예방 주사 맞아야 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백신 운반을 진행해 경험이 부족했고, 야외에서 백신 상자를 옮길 때 백신을 상온에 보관한 것으로 드러났지요.상온에 노출된 백신은 578만 명 분량으로, 10월 6일 질병관리청은 백신 품질 평가 결과, 유통 과정 동안 기준 온도를 벗어난 백신 등 48만 도즈*를 수거하기로 했어요. 10월 12일부터 접종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캔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자동화 기계가 발명되며 캔을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됐어요. 캔은 튼튼하고 음식을 오래 보관할 수 있어 전쟁 중에도 많이 사용됐지요. 제2차 세계대전 때 연합군의 전투식량 중 절반 이상이 캔에 담겨 전달됐을 정도랍니다. 캔을 이용해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어 보자!이번 스미스의 탐구생활에선 ... ...
- [통합과학 교과서] 정체불명의 남자가 놓아준 오작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때문에 많은 국가에서 질산암모늄의 구매를 법적으로 제한하고 있으며, 질산암모늄의 보관 상태를 점검하고 있답니다. # 에필로그 “꽈광!”흥겨운 노래가 끝나기도 전에 견우와 직녀를 막고 있던 산에 커다란 터널이 뚫렸어요. 견우는 터널을 달려가 직녀와 눈물의 상봉을 했지요. “꿀록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쉿! 보물 숨길 곳이 필요해? 다이얼 금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했다면, 이번 메이커 스쿨에 주목하세요. 내 소중한 보물을 누가 손대지 못하게 몰래 보관하고 싶은 어과동 친구들을 위해 섭섭박사님이 금고 만들기에 도전했어요. 내가 만드는 메이커 스쿨 금고의 비밀을 풀 확률은? 금고의 비밀번호를 삽시간에 풀고 비밀을 훔쳐 유유히 사라지는 스파이. ... ...
- [탐험대학] 만지고, 깎고, 발표하고! 공룡 연구실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휘둥그레~!이제 고생물학 연구실 탐방 시간! 박진영 연구원은 먼저 고생물학 연구실의 보관함에 들어있는 화석을 소개했어요.“한번 만져봐요! 어떤 화석일까요?”탐험대학 학생들이 조심스러운 손길로 화석을 쓰다듬었어요. 옆으로 뾰족한 이빨이 튀어나온 화석은 보기보다 묵직하고 차가웠지요 ... ...
- [보존과학] 영상에 새 생명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낮을수록 훼손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보존과학자들은 필름을 되도록 낮은 온도에 보관해요. 또, 화학반응으로 생성되는 기체가 다른 필름에 닿는 걸 막기 위해 필름캔에 기체를 흡수하는 약품을 넣고 주기적으로 갈아요. 옛날엔 디지털 편집 프로그램이 없어 필름을 직접 테이프로 붙여 순서를 ... ...
- 편하면서도 안전한 대피소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등 필요한 시설을 미리 설치해요. 블록처럼 큰 컨테이너 안에 작은 컨테이너를 겹쳐 담아 보관하지요. 이후 필요한 장소로 이동해 트랜스포머처럼 하나씩 꺼내어 확장하면 빠르고 간편하게 설치되고, 이재민들이 곧바로 이용할 수 있어요.장윤규 교수는 “컨테이너 공간을 부엌과 화장실, 침실 ... ...
- [시사과학] 호박 화석, 연구 윤리 문제에 휘말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그리스 이전부터 보석으로 사랑받았지요. 고생물학자에게 호박은 보석이 아니라 화석 보관 창고로 더 친숙해요. 가끔 나무 주변의 생물이 끈적한 송진에 파묻혀 굳으면 호박 속 화석으로 발견되기도 하거든요. 이렇게 송진에 파묻힌 생물은 깃털과 피부 등 부드러운 조직은 물론, 심지어는 세포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