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d라이브러리
"
변형
"(으)로 총 1,75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계학습에 연립방정식이 들어온 순간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기계학습으로 데이터를 분류하는 작업은 데이터 분포를 이동하거나 회전시키는 등
변형
하는 방식을 통해 진행되는데, 행렬 계산은 선형대수학에서 점(데이터)의 위치를 바꾸는 데 쓰여요. 이때 행렬을 푼다는 것은 연립방정식을 푼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연립방정식과 행렬은 서로 변환할 수 ... ...
[수학뉴스] 포유류 수염의 구부러짐, 시뮬레이션으로 알아본다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수염이 S자 모양으로 휘어진 것입니다. 하트만 교수는 “수학적 기법을 사용해 수염의
변형
처럼 실험으로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생물학적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얻어 흥미로웠다”고 말했습니다. ... ...
한없이 완벽에 가까운 천연 블루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화학과 교수팀은 적양배추의 안토시아닌을
변형
해 안정적인 파란색 천연염료를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4월 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e7871연구팀은 안토시아닌 색소를 구성하는 분자 중 하나인 ‘P2’를 ...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새로운 현상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투고할 수 있었습니다. 똑같은 방향의
변형
이 자주 일어난다는 점에 주목해 그 원인을 파악했고, 결국 원자의 자기 구조에 대한 정보까지 얻을 수 있는 스핀 탐침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전까지 스핀 탐침을 ... ...
[논문탐독] 자연에 한층 가까워진 움직임 소프트 로봇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제목자율 소프트 로봇을 위한 통합 설계 및 제작 전략교신저자로버트 우드 미국 하버드대 존 A. 폴슨 공학 및 응용과학대 교수는 소프트 자율 로봇과 민첩한 곤충 로봇을 만 ... : 물체의 늘어나는 정도와
변형
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탄성률*강성 : 모양이나 부피
변형
에 저항하려는 ... ...
[4컷만화] 뇌에 가장 큰 충격을 주는 행동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컸어요. 특히 회전하다가 급정거하는 회전 충격으로 달걀노른자의 모양이 매우 심하게
변형
됐지요. 뒤틀린 노른자가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가는 데 걸리는 시간도 약 1분으로 가장 오래 걸렸어요. 연구팀은 “사고 유형에 따라 뇌의 부상 정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 ...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창작품, 주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만약 예술가(개발자)가 인공지능 학습 알고리즘과 학습 데이터 등을 모두 직접 수집,
변형
한 경우엔 소유권을 인정받기 좀 더 유리하겠죠. 하지만 대부분은 인터넷에 공개된 데이터와 인공지능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할 거예요. 그렇다면 오롯이 예술가의 것이라고 보긴 어려울 수 있어요. 그래서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속도로 표류하고 있었고, 그린란드 동쪽을 향하고 있었다. 그린란드 동쪽의 해빙들은
변형
이 많이 발생한 상태였고, 7월 31일에 소규모 붕괴도 있었다. 그럼에도 또 한 번의 운이 따랐던 건지, 부빙 위에 설치됐던 모든 주요 장비들은 안전했다.우리는 다섯 번째 탐험에서 또 한 번의 새로운 시도를 ... ...
[한페이지 뉴스] 유전자가위로 만든 네안데르탈인 뇌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데 의미가 크다.알리슨 무오트리 미국 UC샌디에이고 의대 교수는 “단일 염기쌍을
변형
하는 것만으로도 뇌가 연결되는 방식이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현생인류가 고대 인류와 차이를 보이는) 나머지 60개 유전자를 바꿨을 때의 변화를 연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기획] 소수점 이하 50조 번째 자릿수까지 나왔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1987년 미국 수학자 데이비드 추보스키와 그레그리 추보스키 형제가 라마누잔의 식을
변형
해 만든 추보스키 공식을 적용한 것입니다. 이 식을 사용하면 항을 하나씩 추가할 때마다 약 14개 내외로 π의 소수점 아래 자릿수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50조 번째 자릿수 신기록을 세운 티모시 멀리컨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