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필
반려자
동반자
부부
짝
남편
아내
d라이브러리
"
배우자
"(으)로 총 19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곤충모형만들기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낳고 그 알은 약 2-7년간 성장한 후 껍질을 벗고 성충이 됩니다. 성충은 알을 낳기 위한
배우자
를 2주간 찾은 후 수명을 다하게 되지요.매미를 잘 관찰해 보세요. 나무 위에서 쉴 때는 언제나 날개가 등 위에 얌전히 놓여 있답니다. 또한 나무를 찔러 수액을 빨아먹을 수 있는 빨대같은 입이 배쪽으로 ... ...
멧새, 바람피운 '아내'새끼 박대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자기가 낳은 알에서 나온 새끼임을 잘 알고 있는 어미는 새끼를 먹이는데 있어서 지금의
배우자
핏줄을 많이 물려받았든지 그렇지 않든지 전혀 차이가 없었다. 이것은 유전적 관계가 없는 새끼들이 결코 먹이를 덜 달라고 했기 때문에 그 새끼들을 차별하여 먹이를 덜 주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 ...
유전자 알고리듬 이용, 전자공학의 새 시대 연다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각 개체는 염색체 형태로 표현된다.다음으로 집단 내의 염색체들은 짝짓기(mating)를 위해
배우자
를 선택한 후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낸다. 여기서 선택은 개체의 적합도가 높을 수록 많이 이루어지도록 해 선택된 부모의 염색체를 혼합, 변형함으로써 새로운 두개의 염색체를 만들어 새로운 개체가 ... ...
3. 짝짓기 선택 암컷의 특권이라는데…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Theory of Natural Selection, 1930년 발간)에서 자성선택에 관하여 간략히 적었다. 그는 만약
배우자
선택에서 암컷의 일관된 선택과 수컷의 선호된 형질이 함께 유전된다면 진화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제안했다.그는 이렇게 아리송하게 표현했다."암컷은 꼬리가 긴 수컷을 좋아하기 때문에 꼬리가 긴 ... ...
열대어 '몰리'의 기묘한 암컷 유인작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할 수 있다.단순한 동물과 사람을 비교한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얘기지만, 사실 인간도
배우자
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주변의 친구들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는 게 사실이다. 친구가 괜찮다면 괜찮아 보이고 별로라면 좋다가도 싫어지니 말이다. 트리니다디안 구피 암컷의 모방행동실험트리니다디안 ... ...
영원한 수수께끼, 성(性)의 기원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해야 한다. 에너지와 시간의 낭비가 불가피한 것이다. 그러나 무성생식하는 박테리아는
배우자
를 찾거나 수정하는 수고를 겪지 않고서도 짧은 시간에 기하급수적으로 자손을 번식시킨다. 요컨대 성은 생식을 위해서 반드시 좋은 수단이라고 할 수 없다. 현명한 유기체라면 성을 자식 낳는 방법으로 ... ...
숙주와 기생생물 '군비확대경쟁'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제안을 했다. 공작새 등 많은 조류에서 암컷이 밝게 빛나는 색깔의 깃털을 뽐내는 수컷을
배우자
로 선택하는 이유는, 깃털의 색깔이 선명할수록 그만큼 기생생물에 대한 저항력이 높은 상태인 것으로 진단하기 때문이라는 이론이다. 해밀턴의 아이디어는 북아메리카의 조류와 남아시아의 야생닭을 ... ...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주변에 다가서는 암컷에게까지 적대적이 된다. 짝짓기를 한 암컷은 분명하게 그의
배우자
를 다른 수컷보다 좋아한다.그러한 짝짓기에는 화학적 측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과학자들은 들쥐가 일부일처를 택하는 행동을 하도록 유발하는 바소프레소와 비슷한 화학물질을 발견했다. 만약 ... ...
생물- 왜 자식은 부모를 닮았으면서 똑같지는 않은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유전자와 주근깨를 나타내는 유전자가 같은 염색체 위에 존재하는 것이다. 감수 분열로
배우자
를 형성할 때 이들 유전자(빨강머리, 주근깨)는 그 염색체와 행동을 같이 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빨강머리를 가진 사람은 주근깨가 잘 나타나는 것이다.그러나 머리 색깔이 빨강이면서도 주근깨가 ... ...
생물 - 수정란 1개의 무한한 잠재력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측정하면 신체의 여러 세포들은 원칙적으로 똑같은 양의 DNA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배우자
(정자)는 다른 체세포에서 발견되는 DNA의 반만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감수분열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므로 완전히 이치에 맞는 결과이다.이상에서와 같이 모든 분화된 세포들은 수정란에 있던 완전한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