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스"(으)로 총 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미국은 왜 북한을 지목했나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매일 5만5000개가 넘는 새로운 악성코드가 만들어지고, 악성코드 하나의 분량은 A4 용지 한 박스 이상이다. 악성코드 분석가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확인할 수 없는 양이다. 반면 사이버 게놈 프로그램으로 핵심 부분에서 프로그래머의 습관을 확인하면 해커가 해킹을 배운 곳, 이전에 참고한 악성 ...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살펴보면 좋겠지만 불가능하다. 10Mb 용량의 악성코드를 기계어로 바꾸 면 A4 용지 한 박스가 넘는다.그래서 분석가들은 악성코드를 자신의 컴퓨터에 배양한다. 실제 바이러스를 생각해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새로운 바이러스가 나타났을 때, 실험용 쥐에 바이러스를 감염시키거나 우연히 감염된 ... ...
- [Knowledge]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훨씬 싼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쓴다. 특히 이산화탄소를 임계점(31.04℃, 72.8기압) 이상으로 만든다는 게 특징이다(박스 기사 참조).“임계점 이상으로 올라간 이산화탄소는 액체와 기체의 구분이 사라지면서 중간 성질을 가집니다. 이 때문에 증기와 가스방식의 장점을 두루 갖게 되죠.”동행한 이정익 교수가 말했다. 이 교수는 ...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위 논문 외에도 두 편이 더 있는데, 이들은 아예 작정하고 우스개로 쓴 논문이었다 (박스 기사 참조). 신비동물학에서 다루는 자료는 과학적 증거보다 목격자 증언이나 발자국, 진위 여부를 가리기 힘든 영상 등이 대부분이며, 조작으로 밝혀진 것도 많다. 과학자가 밝혀낸 빅풋의 정체는?이 때문에 ... ...
- [Hot Issue] 인공유산 여전한 우리나라, 여초시대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가 1990년 116.5까지 치솟았다가 2013년 105.3을 기록했다. 생물학적 정상 출생성비인 103~107(박스 기사 참조)을 유지하게 된 것이다. 과연 출생성비가 정상 수준으로 내려온 이유는 무엇일까.지금까지 제시된 주된 설명은 다양한 이유로 남아선호가 줄었다는 것이다. 그 중에는 경제학적인 이유도 있다. ...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동갑목(antiarchs) 화석을 연구했어요. 어느 날 동료인 엘가 마크쿠릭 박사가 제게 밀봉된 박스 하나를 건넸습니다. 에스토니아에서 가져온 뼈 화석 한 점이었어요. 저는 그걸 들여다 보다가 2cm가 채 안 되는 작은 뼈를 발견했습니다(119쪽 사진). 처음엔 그게 뭔지 몰랐지만 들여다 보고 또 들여다 본 ... ...
- 바이오가스에서 접시까지 낙엽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있다. 바로 낙엽으로 만든 ‘클레버 리틀 쇼퍼’이다. 이 포장재는 일반 쇼핑백과 박스처럼 보이지만 낙엽과 옥수수 전분, 잡초 같은 재료를 미세한 입자로 분해해 만들었다. 쇼핑백의 빨간색도 천연염색으로 물들여 완벽한 친환경 포장재이다.클레버 리틀 쇼퍼는 뜨거운 물에 담가두면 3분 안에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www.pen-fan.net로 들어가 펜박스를 신청하면 펜을 기부할 수 있는 박스를 보내 준대요. 이 박스에 펜을 넣어 다시 보내면 펜이 필요한 친구들에게 전해진답니다. 잠깐! 펜을 기부하기 전에 잉크가 ⅔ 이상 남아 있는지, 고장 난 것은 아닌지 꼭 확인해야 해요. 현재 3차 기부를 6, 7월에 진행하고 있으니 안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하지만 세계 역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떨어질 때의 기록이 많죠. 제가 확보한 블랙박스 영상만 70~80개인걸요. 좀 더 분석하면 새로운 연구 성과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또한, 운석이 대중과 가까워졌다는 것도 무척 고무적이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는 운석신고센터가 생겼습니다. 국가가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 신경세포는 장소세포와 달리 하나의 넓은 공간을 혼자서 처리했다. 넓은 원형 박스 안에서 쥐를 돌아다니게 하고 전기신호를 측정했더니 하나의 내비피질 세포가 여러 장소에서 전기신호를 나타냈다. 각각의 장소세포가 이순신 동상, 경복궁 등을 하나씩만 맡았던 반면 내비피질 세포는 광화문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