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덩어리
다발
꾸러미
덩이
묶음
보따리
솜뭉치
d라이브러리
"
뭉치
"(으)로 총 220건 검색되었습니다.
북반구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예측한 것으로 유명한 영국의 천문학자 핼리다. 그는 1714년 M13을 별과는 다른 작은 빛
뭉치
로서 맨눈으로도 보인다고 언급했다. 이로부터 약 50년 후 프랑스의 천문학자 메시에는 이 대상을 별들로 분해할 수 없는 구름형 성운이라고 묘사했다. 당시 메시에가 갖고 있던 소형망원경으로는 이 대상을 ... ...
전통 속의 첨단보안시스템 비밀자물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자기가 만든 자물쇠에 상당한 자긍심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자신의 이름을 자물쇠 속
뭉치
인 고삐 목창에 정성스레 새겨 넣었다.조상들의 지혜는 오늘날에도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자물쇠의 제작기술과 기능이 현대기술과 접목되면 새로운 개념의 잠금장치가 개발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
이라크 무기사찰에서 사용되는 불법무기 추적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용한다 대량의 정보를 빠르게 보낼 수 있는 광통신은 이미 실용화돼 있다 신호를 빛의
뭉치
인 광펄스로 보내면 전파에 비해 주파수가 높아서 훨씬 많은 정보를 보낼 수 있다지상기지에서 발사되는, 사정거리 6천4백km 이상이며 로킷엔진으로 추진되는 탄도미사일 앞부분에 핵탄두를 장착하고 ... ...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옷과 꽃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패션 도시 밀라노의 몬테나폴리오네 거리에 위치한‘몬테 피브레’라는 의류매장에는 솜
뭉치
와 스웨터가 전시돼 있다. 이것이 바로 페트병을 재활용해 만든 실과 옷이다. 이 회사는 1997년 말 처음으로 페트병을 재활용한 옷을 선보였다. 페트병 재활용 옷은 가격이나 품질 면에서 천연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환경과 상호작용함으로써 각 개체에 존재하지 않는 새롭고 복잡한 행동을 보이는 것이다.
뭉치
면 못할 것 없다영화 ‘스몰 솔저’를 보면 자그마한 장난감들이 무리를 지어 정보를 수집하거나 건물 내로 침입해 서로 간의 협조로 가공할 전투력을 보이는 장면이 나온다. 영화 속에서나 가능한 상상이 ... ...
곤충세계의 해커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기어오르는 것이었다. 이내 나뭇가지 끝에는 1백마리에서 많게는 1천마리의 애벌레가 솜
뭉치
처럼 모이게 된다. 애벌레들의 목표는 단독생활을 하는 하프로포다(Hapropoda) 속의 벌 수컷. 수펄은 애벌레들의 군집을 나뭇가지 끝에서 쉬고 있는 같은 종의 암펄로 착각하고 교미를 위해 달려들게 된다. ... ...
위조방지기술의 결정체 화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글자를 반복 인쇄함으로써 복사기나 스캐너 등이 이 글자의 형태를 재현하면 글자가
뭉치
거나 깨져 형태를 알 수 없게 하는 효과가 있다. 1만원권 앞면의 측우기 아래쪽에는 ‘한국은행’의 미세문자가 1줄당 14개씩 2줄로 28개가 들어 있다. 요판잠상은 요판인쇄기술을 적용한 것이지만 금속 인쇄판 ... ...
디지털 시대의 인체 적신호 VDT 증후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0%가 수면 부족, 어깨 결림, 근육 경련 등의 증세가 나타났다.근골격계의 이상으로 근육이
뭉치
거나 통증이 생기는 증상과 요통도 VDT 증후군의 증상이다. 특히 근골격계 이상은 고정된 자세, 특히 나쁜 자세로 오랜 시간 동안 컴퓨터 작업을 할 때 근육의 긴장과 수축이 과도하게 진행되면서 나타난다. ... ...
구겨진 종이에 관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확인했다. 이때 구겨진 종이의 부피가 시간에 따라 로그급수로 변했다.연구팀은 종이
뭉치
가 왜 이같은 특징을 갖는지 알지 못한다. 아직 풀어야 할 숙제가 남아있는 것이다 ... ...
2 활용 : ③ DNA 임무수행 동영상으로 즐긴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위치가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이 결과는 단백질이 여러개의
뭉치
로 구성돼 있고, 각각의
뭉치
가 갖는 길이가 서로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때 이 단백질을 푸는데 필요한 힘은 2백50pN. SPM이 아니면 이 미약한 힘을 측정하기 어렵다. 앞으로 SPM은 단백질 내의 상호작용을 푸는 열쇠 역할을 담당할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