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2배씩 커지고 작아지는 ‘음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위치한 곳에 따라 음의 높낮이가 달라지고, 타원 안쪽이 채워져 있는지 아닌지, 꼬리 모양이 어떠한지에 따라 박자★가 달라져요. 위의 그림에서 맨 위에 있는 온음표는 4박자 동안 소리를 내는 음표예요. 온음표의 절반인 2박자 동안 소리를 내는 것이 2분음표, 온음표의 1/4만큼인 1박자 동안 소리를 ... ...
- [4컷 만화] 공벌레는 로봇의 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연구팀은 공벌레와 해양 연체 동물인 군부에 주목했어요. 공벌레는 몸을 공 모양으로 만들어 물체를 가둡니다. 군부는 발로 물체를 강하게 붙잡는 특징이 있죠. 연구팀은 로봇의 팔 끝에 동물들이 앉을 수 있는 자리를 3D 프린터로 제작했어요. 그 후 공벌레를 부착해 솜 조각을 갖다 대며 반응을 ... ...
- [질문하면 답해ZOOM] 시력은 좋아질 수 없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있는 물체를 어떻게 볼까요? 먼저 물체에 반사된 빛이 눈의 각막과 동공을 거쳐 볼록한 모양의 렌즈인 수정체로 들어와요. 그러면 수정체가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각도를 조절해 망막에 물체의 상을 맺게 해줘요. 이 시각 정보는 시신경을 거쳐 뇌로 향해 우리는 물체를 인지하게 되지요. 하지만 눈 ... ...
- [도전!체스 마스터] 대각선 끝까지 장악하라! 비숍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주교(가톨릭교 성직자)를 상징해요. 그래서 비숍의 기물은 성직자들이 쓰는 뾰족한 모자 모양과 비슷하지요. 비숍은 대각선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어요. 단, 이동하려는 길에 상대편 기물이 있다면 그 자리에서 잡거나 그 앞에서 멈춰야 해요. 공격과 수비를 한 번에!비숍은 대각선 ... ...
- [통합과학 교과서 ] 구해줘! 잭의 콩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곰팡이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식물의 뿌리에 자리잡아요. 곰팡이의 몸을 이루는 실 모양 세포인 ‘균사’가 식물 뿌리 표면을 감싼 형태를 외생균근이라고 해요. 균사가 식물 뿌리의 세포벽을 뚫고 들어간 내생균근도 있지요. 다양한 방법으로 뿌리에 침입한 곰팡이는 사방으로 균사를 ... ...
- [꿀꺽! 수학 한 입] 마법의 힘으로 분수를 모아보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그렸어. 예를 들어 숫자 3을 나타내는 작대기 3개 위에 입 모양이 있으면 1/3인 거야. 입 모양 그림이 지금의 분수에 있는 선분과 같은 역할을 한 거지. 그런데, 왜 ‘분자’를 나타내는 그림은 없었을까 ... ...
- [출동! 슈퍼M] 시력 1.0 이 이라는건 무슨 뜻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년, 프랑스의 안과 의사였던 에드먼드 란돌트는 시력을 검사할 때 한쪽이 끊어져 있는 원 모양의 고리를 사용하자고 제안했어요. 고리의 위, 아래, 오른쪽, 왼쪽 중 어느 방향이 끊어져 있는지를 먼 거리에서도 알아볼 수 있는지에 따라 시력을 측정하는 거예요. 글자나 숫자를 모르는 사람도 쉽게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컵까지먹을수있다! 초콜릿으로 컵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컵 안쪽 면에 골고루 묻힌 뒤, 상온이나 냉장고에서 식히면 다시 고체로 굳습니다. 컵 모양으로 만들어진 초콜릿 컵에 뜨거운 음료를 담으면 금방 녹아버리기 때문에, 차가운 음료를 담아 마시는 게 좋습니다. ●초콜릿의 부드럽고 여운 있는 맛의 비밀은?초콜릿을 먹으면 입안에서 미끌미끌한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친해지길 바라~! 분수나라와 소수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먼 우주, 드넓은 원 모양의 세상에 ‘분수족’과 ‘소수족’이 살고 있었습니다. 두 민족은 세상을 절반으로 갈라 한쪽에 ‘분수나라’를, 반대쪽엔 ‘소수나라’를 세웠지요. 그러나 분수족과 소수족은 서로 문화가 달라 사이가 좋지 않았어요. 만나기만 하면 아웅다웅, 서로 으스대고 상대방을 ... ...
- [어수티콘 사전] 분자, 분모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항상 1보다 크거나 1과 같지요. ʻ대분수’는 가분수를 자연수와 진분수를 합친 모양으로 바꾼 거예요. 그림을 보면 86과 126의 조각 개수가 똑같죠? 86에서 6을 떼어내어 자연수 1로 바꾸고, 남은 진분수 26와 합치면 126(1과6분의2)가 된답니다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