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면적"(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담수담] 수학 원리를 꿰뚫는 공부법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1년 08호
- 껍질이 무수히 겹쳐진 것으로, 아주 짧은 반지름을 가진 껍질부터 구 크기의 껍질까지 면적의 변화값을 모두 더한 적분 값이 구의 부피가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나무가 자라는 현상과 구의 부피는 모두 미분과 적분이라는 수학 개념으로 연결돼 있다는 겁니다. 현재 교육과정에서 구와 같은 ... ...
- [특집] 바닷속도 지도로 그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3교대로 24시간 내내 탐사를 수행하는 일이 빈번해요. 자료를 모으는 기간은 얼마나 넓은 면적을 얼마나 자세한 지도로 만드느냐에 따라 다 달라요. 지금 탐사 중인 연안 바다를 예로 들면, 4~5년 정도의 탐사 기간을 갖고,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지도를 완성할 예정이지요. ● 가스하이드레이트 : ... ...
- [특집] 황해 초원 기억 품은 큰 물줄기, 한강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PART3 미래 │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인포그래픽 ] 남한 면적의 28%를 품고 흐르는 한강Epilogue 살이 │섬강 민물고기의 혼인 ... ...
- [인포그래픽] 남한 면적의 28%를 품고 흐르는 한강과학동아 l2021년 07호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한강도 예외가 아니다. 한강의 지류인 강원도 섬강과 경기도 청미천의 2016년 초본 식생 면적은 각각 54.7%와 77.5%에 달했다. 2010년에 비해 각각 1.7배, 2배 증가한 수치다. ● 기후변화 │ 극심한 봄 가뭄 찾아올지도 장기적인 기후변화의 결과는 한강 유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2013년 이동률 ...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비롯된 말로 ‘한’은 ‘크다, 넓다, 가득하다’라는 뜻이다.이름처럼 한강은 유역면적이 3만 5770km2로 한반도에서 압록강 다음으로 넓다. 한반도 중앙을 동쪽에서 서쪽으로 두른 형태로 흐르며 총 하천 길이는 494.4km로 네 번째로 길다. 강원도, 충청북도,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 여러 행정구역을 ... ...
- 살이│섬강 ,민물고기의 혼인 잔치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원주시를 지나 경기도 여주시에서 한강 본류와 만나지요. 2000년 횡성댐이 지어지며 209km2 면적의 횡성호가 새로 생겼습니다. 최근 한강에 사는 민물고기에게 닥친 가장 큰 위기는 2008~2012년 시행된 4대강 사업이었습니다. 특히 여주보가 지어진 곳에 살던 멸종위기종이 위기를 겪었습니다. 그런데 ... ...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단계에서부터 용도가 정해지는 만큼 범용성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전력 효율이 높고 면적을 적게 차지한다는 점이 장점이다. 다만 개발에 드는 비용이 FPGA보다 높다는 단점이 있다. 특정 AI 모델에 특화되는 만큼 기존 반도체 생산 업체는 물론 AI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기업에서도 ASIC 방식의 AI ... ...
- [특집]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지도가 나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다니는 거보단 종이 지도를 접어 넣어다니는 게 더 편하지 않겠어요? 그뿐 아니라 땅의 면적 등을 계산하더라도 흔히 사용하는 직각 좌표 지도를 사용할 때 더 편하기 때문이죠 ...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중국과 한국 해안선 21개 지점의 가무락조개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해수면 하강으로 바다 면적이 달라지자 가무락조개는 서로 다른 계통으로 분화했으며 해수면이 상승할 때 크게 번성했다. ❸ 지난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동해 퇴적층에서 2만 3000년 전 대만에서 시작하는 쿠로시오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