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d라이브러리
"
면역
"(으)로 총 1,45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초과학의 힘] RNA 연구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완벽한 유전체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수 있었다”고 말했다. 바이러스 연구에 계속 관심 RNA의 화학적 변형은 숙주세포의
면역
작용을 피하는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모든 변형이 그런 것은 아니기에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어떤 변형이 일어났는지도 앞으로 더 연구해야 한다. 최종 목표는 RNA 수식현상이 ... ...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끝이 아닌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그러면 모기가 옮기는 질병을 처음 접하는 10억 명은 감염될 위험에 놓이게 돼요. 이들은
면역
력이 없어 질병이 빠르게 확산될 수 있지요. 또,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한 서식지 파괴는 신종 전염병 발생의 주범으로 꼽혀 왔어요. 1998년 말레이시아에서 등장한 니파바이러스감염증도 서식지에 ... ...
새로운 적에 대항할 ‘슈퍼약물’이 나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부분은 잘 변하지 않는 것으로 그동안 관찰돼 왔어요. 범용백신은 이런 부분을 우리 몸의
면역
세포가 기억해 변종 바이러스도 예방하도록 만들지요.다만 범용백신이라고 해서 모든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막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 비온드백스도 사람에게 주로 유행하는 3종에 대해서만 실험을 ... ...
코로나19 치료에 덱사메타손 득일까? 실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공격하는 항바이러스제와는 다른 원리의 의약품”이라며 “덱사메타손에 의해 떨어진
면역
력이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적절한 용법 연구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 ...
[한페이지 뉴스] 장내미생물이 바이러스 감염도 막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바이러스를 주입한 뒤 혈청 속 인터페론의 양을 분석했다.
면역
세포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인 인터페론은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것을 막는다. 분석 결과, 클로스트리듐 신덴스를 주입한 쥐의 인터페론 수치는 대조군(항생제를 투약하지 않고 미생물을 주입한 그룹)과 ... ...
[에디터노트] 바이러스 특별판을 펴내며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인체의
면역
시스템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얼마나 고군분투했는지 그 과정을 담았다.
면역
세포인 T세포의 작동 원리를 밝혀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피터 찰스 도허티 박사와는 직접 e메일 인터뷰를 진행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같은 신종 바이러스를 잡을 방안을 들었다. 과학은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떨어졌을 때 VZV가 활성화됐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VZV의 활성화 여부로 우주인의
면역
력을 가늠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놓기도 했다. 한편 NASA는 우주인이 탐사선이나 국제우주정거장(ISS), 달, 화성 등에서 귀환할 때 바이러스를 비롯한 미지의 생명체가 의도치 않게 함께 지구에 유입되는 것을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활성산소는
면역
세포를 활성화하는 신호 물질인 인터페론을 유도하는데, 이를 막아
면역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일어나지 않도록 만든 것이다. 그런가 하면 코로나바이러스 등 급성 질환을 일으키는 RNA 바이러스는 중화항체가 만들어지는 것보다 자손을 훨씬 많이 만들어버리는 ‘인해전술’을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일어나는 자가
면역
질환이 생길 수 있다.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에이즈)을 일으키는 인간
면역
결핍바이러스(HIV)는 수지상세포의 여러 수용체와 결합해 인체를 감염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현재는 단핵구가 수지상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하는 등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 ...
무조건 막는다,
면역
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임계점에 도달하지 못한 변종은 처리할 수 있다. 이런 능력을 갖춘 사람이 많아 집단
면역
이 형성됐다면 신종으로 재정의해야 할 만큼 강한 변종의 등장을 늦출 수 있다. 물론 어떠한 노력에도 막을 수 없는 신종 바이러스가 출현할 수 있는 위험도 늘 우리의 삶과 함께할 것이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