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부자 되기 2단계
수학동아
l
2021년 11호
급격히 커져요. 지금의 큐브와 같은 나이인 35살까지 약 587만 원을 모았어요. 큐브는 이제
막
100만 원을 저금했는데 말이죠. 결국 두 사람이 60살이 됐을 때 세빈이는 약 4021만 원을, 큐브는 약 685만 원을 모았답니다. 복리를 사용하면 투자 기간이 길수록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어요 ... ...
소행성 위협
막
을 첫걸음 DART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실제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을
막
는 데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소행성 위협
막
을 유일한 방패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방법에 충돌만 있는 것은 아니다. 문 그룹장은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기 위한 방법으로는 이론적으로 물리적 충격으로 밀어내기, 중력으로 당기기, 폭탄으로 폭파하기 ... ...
[인터뷰] "나에게 상처주지 않길" 황유경 GC녹십자랩셀 세포치료연구소장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형태의 항암제를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 황 소장은 “세포치료제는 세계적으로 이제
막
성장하는 산업이라 참고자료도 충분히 없었고 관련 연구도 부족했다”며 “기초 연구부터 개발까지 모든 과정을 자체적으로 해내야 했다”고 말했다.그래서 황 소장은 세포치료연구소 팀을 전례를 없는 ... ...
토끼 약국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구조가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에요. 이 버팀대 50개가 있으면, 목뼈가 부러지는 것을
막
는 힘이 90% 증가해요.연구에 참여한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샴페인캠퍼스 고생물학과 캐리아드 윌리엄스 박사과정연구원생은 “이번에 발견된 구조라면 아즈다르코과 익룡은 9∼13kg 무게의 먹이를 ... ...
[한페이지 뉴스] 맛있는 차 알아보는 과학적인 방법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연구원은 “감귤류 같은 산성 성분을 말린 찻잎과 함께 우려내면
막
을 적게 만들고, 차의 풍미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2] 포물선을 아름답게! 축구공 골인 게임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독자들이 만든 코딩 세상 훈쌤코딩은 이번 호를 마지
막
으로
막
을 내립니다. 그동안 훈쌤코딩을 사랑해 주셔서 감사드려요. 지난 5개월간 독자들이 응모 해준 코딩 미션 작품 중 놀라운 것들을 소개해요! 코딩 왕중왕최시안(kangsunXXXX) 4월 1일 자 훈쌤코딩. ...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태-영화체가 등장하기 전에는 필경사가 영화자
막
을 직접 썼어요. 필경사들이 필름에 자
막
을 입히는 과정에는 화학약품으로 동판을 부식시키는 단계가 필요해요. 이때 글자도 함께 부식되면서 끝이 뾰족해지기 때문에 필경사들은 부식될 부분을 감안해 획 끝을 둥글게 했죠. 저희 회사의 ... ...
[매스크래프트] #21. 에펠탑과 도쿄 타워는 닮은 도형?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020 도쿄올림픽이
막
을 내렸습니다. 코로나19로 이전 올림픽만큼 관심을 끌진 못했지만 한국 선수들의 열정은 그 어느 때보다도 뜨거웠습니다. 시원하게 10점을 쏘아댄 양궁부터 투혼으로 불태운 배구까지! 오늘은 도쿄올림픽을 추억하며 도쿄의 명소인 도쿄 타워를 만들어보겠습니다. ※ 편집자 ... ...
플라스틱 탄생 & 죽음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등은 재활용 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일반쓰레기로 분류해야 한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막
버려도 분해될 것 같지만 실상은 다르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58℃ 안팎의 온도 조건을 조성해 줘야 6개월간 90% 이상 분해돼 퇴비가 된다. 현재 국내에는 이런 조건을 조성해 줄 전용 처리장이 ... ...
[SF 소설] 화성의 칼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나서지 않았다면 그 선언은 더 멋있게 들렸을 것이다. 총독관저 대학살은 대변혁의 서
막
이었다. 한국 독립운동에 새로운 힘을 실어줬기 때문이 아니라, 화성 인공 두뇌가 적극적으로 지구 역사에 개입한 순간이었기 때문이다. 머나먼 영국의 대저택에 갇혀 있던 무른 뇌의 청소년인 징기스칸은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