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이크"(으)로 총 655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좌석은 엉뚱하게 소리가 소리가 튀지 않도록 소리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지요. 마이크도 없이 노래하는 오페라 가수 소리가 콘서트홀 가장 먼 좌석에서 잘 들리는 것도 이때문이랍니다.동굴은 콘서트홀과 비슷한 특징을 갖고 있어요. 특히 제주도의 용암동굴들은 콘서트홀의 조건을 아주 잘 ...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플라스틱이 뱃속에 들어가는 것 자체는 그리 큰 문제가 아닙니다. 작은 유기체들이 마이크로플라스틱을 먹을 경우 내장에 그리 오래 남아있지 않습니다. 요각류에서는 수 시간 뒤면 배설되고, 홍합에서도 며칠 머무르다가 나옵니다.그럼 진짜 문제는 뭔가요?독성입니다. 플라스틱 제품에 코팅된 ... ...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파는 봉지 감자칩은 처음 감자칩이 등장하고 수십 년도 더 지난 1910년에야 등장했다. ‘마이크-셀 감자칩 회사’라는 작은 회사에서 왁스로 코팅한 종이봉투에 감자칩을 담아 판 것이다. 다만 이 봉지 감자칩은 순수하게 감자를 튀겼을 뿐 소금을 치거나 양념을 뿌리지 않았다.1940년대 감자칩 ... ...
- [과학뉴스] 두 얼굴을 가진 고대 물고기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발표했다.연구팀은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약 4억1500년 전 데본기 초기 물고기 화석을 마이크로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찍었다. 1992년 당시 경골어류인 디알리피나와 비늘과 두개골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디알리피나 속(屬)으로 분류됐던 화석이다. 그런데 CT 촬영 결과, 연골어류와 경골어류의 특징이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연구가 활발하다. 특허청에 따르면 수십 마이크로와트(μW) 수준의 극소량 전력을 얻는 마이크로 에너지 하베스팅 관련 특허출원이 2007년 27건에서 2013년 167건으로 최근 7년간 6배 이상 성장했다. 열전 및 압전 기술이 전체 특허출원의 88.5%를 차지하고 있다. 조병완 한양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수소문하기 시작하는데…. 어느새 대기실이 시끌벅적해졌다.“웅성, 웅성.”아, 아, 마이크 테스트. 안내 말씀 드리겠습니다. 지금부터 빛의 일인자를 선발하기 위한 대회를 시작하겠습니다. 전 세계를 수소문한 끝에 시대와 나라를 초월해 ‘빛’에 대해 일가견이 있는 후보를 모셨습니다. 후보는 ...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완벽하게 보존된 판피어 화석 표본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동갑목에 속하는 ‘마이크로브라키우스 디키(Microbrachius dicki )’라는 종이었죠(‘디키’는 이 물고기 화석을 처음 발견한 스코틀랜드의 화석수집가 로버트 딕(1811~1866년)의 이름을 땄다). 판피어에 속하는 물고기로, 약 3억8500만 년 전에 ... ...
-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어린이과학동아 10살 생일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아아…. 마이크 테스트 중. 하나둘, 하나둘! 흠흠! 바쁘신 와중에도 이렇게 자리를 빛내 주신 신사 숙녀 여러분 정말 감사합니다. 10년 동안 변함없이 출연 중인 의 미남 캐릭터 썰렁홈즈입니다. 호오~~, 박수~! 흠흠…. 그럼 지금부터 우주 최고 인기 과학만화잡지 의 ... ...
- [수학뉴스] 스마트폰이 수학 문제를 대신 풀어준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기술을 발전시켜 PDF 스캐닝, 온라인 뱅킹과 같은 분야에 활용할 계획이다. 앱 제작사인 마이크로 블링크의 공동 설립자이자 CEO인 미르 사볼은 미국 CNN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교육 회사가 아니기 때문에 포토 매스에 머무르지 않을 것”이라며, “이 기술을 더욱 폭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 ... ...
- PART2. 핵융합의 원리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다단계 수소폭탄 설계 방식)을 기초로 한 수소폭탄을 개발해 1952년 11월 ‘아이비-마이크’라 불린 최초의 핵융합 폭탄 실험을 했다. 그러나 군사 목적으로만 연구된 것은 아니었다. 같은 시대에 미국과 러시아, 영국, 프랑스 등의 많은 과학자들은 핵융합을 평화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 즉, 핵융합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