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형"(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슈퍼M] “비바람에도 끄떡없는 우산이 있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우산은 완벽한 원이 아니라 다각형이에요. 우산살의 개수를 살펴보면 우산이 어떤 도형인지 알 수 있어요. 우산살이 6개면 육각형, 8개면 팔각형이지요. 우산살은 우산을 접었다 펼 수 있게 하는 장치이자, 비를 막아주는 천이 팽팽하게 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해요. 우산살의 개수는 적게는 6개부터 ... ...
- 수콤달콤 놀이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쓴맛’으로 꼽은 초등수학 내용을 달콤하게 바꿔 드려요. 이번 주제는 ‘둘레’예요. 도형의 둘레를 어떻게 구하는지 알아보고, 우리 주변 사물의 둘레를 직접 구해 보세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수콤달콤 놀이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Part1.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 ...
- [특집] 얼마나 아니? 비눗방울 퀴즈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문제(Bubble problem)’라 부르고 연구했어요. 비눗방울 문제 a차원에서 부피가 동일한 도형 n개를 합쳤을 때 표면적이 최소가 되는 모양은 비눗방울 n개가 붙어 있는 모양과 같을까? 3차원에서 비눗방울이 2개일 때 문제는 2002년 네 명의 수학자 프랭크 모건, 마이클 허칭스, 마누엘 리토레, ...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11. 삼각형의 내심이냐 외심이냐, 어떤 이등분선인지가 문제!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중요한데요. 내심과 외심, 두 개념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봐요. 중학교 2학년 ‘도형의 성질’ 단원에서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을 배워요. 그런데 예각삼각형이면 두 점 모두 삼각형 안에 있어 헷갈리기 쉬운데요. 변의 수직이등분선인지, 내각의 이등분선인지만 확인하면 쉽게 문제를 풀 수 있어요 ... ...
- [수학 체험실] 무한 계단을 따라 째깍째깍 흘러가는 시계수학동아 l2022년 12호
- 펜로즈 삼각형은 3차원에서는 실현이 불가능하지만, 눈의 착각을 이용해 만든 2차원 착시 도형이다. 102쪽의 무한 계단은 펜로즈 삼각형의 변형인 ‘펜로즈 계단’이다. 이 계단 역시 2차원에서만 구현이 가능하다. 펜로즈 삼각형과 펜로즈 계단은 각각 1934년과 1937년 스웨덴 화가 오스카르 ... ...
- [특집] 비눗방울 3개 문제는 ‘입체사영’으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손전등으로 아래를 비춰 그림자를 만드는 거예요. 이렇게 만들어진 그림자는 원래 도형의 모양과 각도를 유지한다는 큰 장점이 있어요. 여기서는 그림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2차원에서 3개 비눗방울 모양을 구하는 경우를 알아볼게요 ... ...
- [특집] “3년 동안 남긴 400쪽 메모의 결실이에요!”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방문했는데 그때 우리 모두 둘레의 길이가 같을 때 넓이가 최대인 도형을 찾는 ‘등주문제’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았어요. 이후 함께 연구를 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다 2018년 특수한 공간에서 비눗방울 문제인 가우스 가중치 비눗방울 문제를 함께 해결했는데, 이때 사용한 방법으로 ... ...
- [수학체험실] 꼭꼭 숨어라, 곱셈 보일라! 문살 무드등 만들기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등 다양한 식에서 곱셈을 표현하고 있다. 곱셈 기호가 발명되기 전, 인류는 자연물과 도형을 이용해 곱셈 계산을 했다. 그 중 ‘문살 곱셈’은 전통 가옥 문의 뼈대가 되는 살끼리 만나는 교차점의 개수로 곱셈을 하는 방법으로, 그 유래는 중국과 인도로 추정된다. 문살 곱셈은 곱하고자 하는 수의 ... ...
- [수학체험실]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정리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아래쪽 그림처럼 영어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로 대응하는 영역이 서로 합동이 되게 도형을 나눠 면적이 같음을 보였다. 이후에도 업튼 씨의 문제는 출제된지 5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여러 수학자에 의해 재구성됐다. 먼저 8조각이 아닐 때는 어떨까? 2012년 미국 수학자 그렉 프레드릭슨은 12조각, 1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9 장. 역설의 꼬리표 달린 정리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그렇지. 어떻게 주어진 도형을 다섯 개의 조각으로 쪼갠 뒤 이리저리 옮기는 것만으로 도형이 더 커지겠어요? 그런데 이것이 바나흐-타르스키 정리와 일맥상통 합니다. 정말 말도 안되는 내용 같지 않나요? 그러나 놀랍게도 바나흐-타르스키 정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만큼이나 합당한 수학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