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단
절연
단교
절교
요절
단명
분리
d라이브러리
"
단절
"(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알버트 센트-죠르지 생명현상의 가장 광범한 연구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추진력이 내포되었다고 믿기 시작했다. 예컨대 시신경을 자른 뒤 눈알을 돌리면
단절
된 신경끝이 다른 한쪽의 신경끝을 찾아내어 볼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그는 생명 그 자체가 생명을 지속시킨다는 주장을 했다. 예컨대 자동차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 차는 낡아 버리고 사람의 다리도 허약해 진다. ... ...
국제 저작권 가입을 앞두고 과학출판의 제도적 지원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따라서 GNP 1.8%선에서 그칠 일이 아니라 정부투자 부문을 과감히 늘려 과학기술정보
단절
위기에 처한 우리나라의 과학출판 지원책을 화급히 서둘러야 할 것이다.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에서 미국이 탈퇴 한 것은 그들의 지적 소유권을 쉽게 포기하지않겠다는 뜻을 지닌다. 미국은 이미 ... ...
일본에서 개발된 전기충격요법 색약·색맹이 치료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있다.즉 색을 감각하는 뇌의 신경회로가 이어져 있지 않거나 접속 불량 상태에 있다켜 이
단절
상태나 접속 불량 상태를 JPJC 시스템에 의한 전기 충격으로 정상화시킨다는 것이다.지금까지 보지 못하던 색을 보게 된다는 것이다. 즉 채널이 세팅되어 기능이 회복되면서 새로운 감각 정보가 중추에 ... ...
동양의 과학은 왜 침몰했는가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발전시키려 하지 않는다고 개탄하면서 만약 이같은 자세가 청산되지 않으면 서구와의
단절
이 생길 경우 동양 각국의 과학 기술은 현재 수준에서 동결, 화석화할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의 과학기술은 서구 일변도에서 탈피해 '천개의 꽃이 한꺼번에 피는 '과학의 다양성이 필요하며 동양의 ... ...
이공계 대학원 교육에 대해 말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또한 중요한 것으로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분리 운영을 들 수 있다. 이 분리는 연구의
단절
을 유발하고, 석사논문제출 박사입학시험 등 또다른 부담만 준다. 외국의 경우에 거의 대부분의 대학이 석·박사과정을 통합 운영하고 있다. 전술한 여러가지문제는 행정적 편의만을 위해 일괄적으로 ... ...
첨단산업의 첨단공해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작용을 막아줄뿐만 아니라 반도체내의 전자적인 변화가 외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단절
시키는 튼튼한 담의 구실을 하게된다. 일단 이산화실리콘층이 형성된 웨이퍼는 전기로에서 꺼내져 감광제를 칠해주게 된다. 복사노광은 위쪽에 마스크를 그 밑에 웨이퍼를 놓고 빛을 쏘여 감광막 표면에 ... ...
최루탄의 과학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한다. 또 새가 줄어드는 것은 먹이가 되는 나비 벌 곤충류까지 자취를 감춰 먹이사슬이
단절
, 생태계가 파괴돼가고 있기 때문이다. 연세대 학생들에 의하면 새나 곤충은 물론, 송충이 같은 해충도 없어졌다는 것이다.경희대 캠퍼스는 어떤가. 윤무부 교수에 의하면 예를 들어 80년 6월 7일 아침에 ... ...
지구의 종말은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충돌은 물리적재난이외에 환경에 거대한 변화를 초래하며 특히 먹이연쇄에
단절
을 일으킨다. 이렇게 되면 동물들이 보다 큰 타격을 받게 된다. 지구와 천체와의 충돌이 가져올 효과는 전면 핵전쟁이 일어났을 경우의 효과와 비슷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우주선(線)의 ... ...
컴퓨터 사회를 해석하는 필수 도구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System Industry) 또는 미래지향산업이라 할 수 있다. '드러커'(Drucker P. F.) 교수는 그의 저서 '
단절
의 시대(The Age of Discontinuity)'에서 "미래의 4가지 새로운 산업은 정보산업, 해양산업, 재료산업 및 도시계(megalopolis)인데 거기에는 새로운 개념인 시스템이 바탕이 되고 있다"고 말하고 ...
도시기온이 높아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있다. 그러나 도시에서는 빗물은 곧 제거되고, 건축물과 포장된 노면은 지표와 땅속을
단절
시키기 때문에 시가지에서는 기화열로 소비되는 열량이 현격하게 줄어든다. 그리하여 가뭄이 얼마동안 계속되면 우리가 1985년 여름에 겪은 바와 같이 도심의 시가지나 아파트 단지에서는 구조물에 일사량이 ... ...
이전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