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타내기"(으)로 총 3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통조림] 천만 가지 문자의 얼굴을 벗겨라!수학동아 l2010년 02호
- 미지수는 단지 x나 y뿐만 아니라, z, h, p, a 등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만남❷ 규칙 나타내기고학년으로 올라가면 규칙을 문자로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교과서에 그림이 주어지면 그림에 나타난 배열을 수로 나타내고 수가 어떻게 변하는지 규칙을 찾습니다. 그러한 규칙을 수로, 말로, 그리고 ...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세면 쉽다. 그렇다면 경우의 수는 왜 구할까? 어떤 특별한 경우가 일어날 가능성을 수로 나타내기 위해서다.조건❶ 사건은 반드시 일어나야 한다.우리가 뭔가를 결정할 때, 우선 의사 결정을 내리기 위한 방법을 찾는다. 선택한 방법에 따라 생길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을 가정해 본 다음 그 중에서 ... ...
- [교과연계수업] 새해맞이, 달력은 어떻게 만들까?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장단점을 각각 설명할 수 있다.4. 교과 연계초등 3~4학년 규칙을 수나 식으로 나타내기, 초등 5~6학년 규칙과 대응5. 수업 지도 순서학생 각자 자신이 준비한 달력을 보면서 달력의 특징을 찾아 자유롭게 발표하기 ▶ 학생들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눠 각각 일, 주, 월, 년 부분에 해당하는 수학동아 ... ...
- [수학 통조림] 단위를 요리하라!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서로 다른 단위를 조합해서 새로운 단위를 만들기도 한다. 빠른 정도를 숫자로 나타내기 위해선 속력단위가 필요하다. 속력은 시간과 거리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길이단위와 시간단위에서 속력단위를 얻을 수 있다. 시간에 대한 거리의 비가 속력이므로, 속력단위는 거리단위와 ... ...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와 근삿값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측정값이라는 점이다. 우리 주변에는 측정이 필요한 수많은 대상이 있고, 인류는 이 양을 나타내기 위해 수를 생각해 냈다. 둘째, 측정값은 정확하지 않은 대강의 값인 근삿값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고사성어에도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라는 근삿값이 있다. 오십보백보는 ‘맹자(孟子)’ ... ...
- 아름다운 무한반복 프랙탈 아트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중간쯤에 놓인 자신의 모습을 표현했다. 즉 자신이 상상하는 모든 이미지를 프랙탈로 나타내기 위해 갈등하고 고뇌하는 모습이다. 세상에 드러나는 단정한 겉모습과 달리 내면은 온갖 현란한 색상의 복잡한 곡선처럼 세상에 지쳐 있는 게 아닐까 ... ...
- 나를 말해주는 손가락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설명했다.약지가 길면 수학을 잘한다?손가락은 그 사람의 수학적, 음악적 능력을 나타내기도 하고, 운동 신경이 얼마나 좋은지 보여주기도 한다. 손가락과 질병의 관계를 조사했던 매닝 교수는 2000년 국제저널 ‘진화와 인간행동’에 검지에 비해 약지가 긴 사람일수록 음악적 능력이 뛰어나다는 ...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이용하는데 나눗셈이 쓰인다. 그 계산 결과는 딱 나누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자연수로 나타내기 힘들다. 분수로 나타내면 분모가 다를 때 크고 작음을 비교하기 어렵다. 이 때 소수를 쓰면 쉽게 비교할 수 있다. 교과서 제대로 읽기교과서의 소수에 대한 설명은 매우 간략해서 내용이 쉽고 간단해 ...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수학동아 l2009년 09호
- 같음을 확인할 수 있다.산가지에서 빈자리와 주판에서 움직임이 전혀 없는 자리를 나타내기 위한 적절한 기호, 이를테면 ○와 같은 기호를 누구나 자연스럽게 생각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수를 ‘234○, 2○34, 23○4’와 같이 간편하게 쓸 수 있었다. 학자들 사이에서는 인도 사람들이 주판을 ... ...
- Part 2. 세계 곳곳에서 쓰였던 χ의 다양한 이름들수학동아 l2009년 09호
- 수는 알파벳의 자음 대문자 B,C,D 등으로 표현했어. 미지수 A의 제곱은 Aq, 세제곱은 Ac로 나타내기도 했지. 데카르트는 미지수는 x, y, z로, 알고 있는 수는 a, b ,c로 표현하기로 했어. 미지수 x의 제곱과 세제곱을 ${x}^{2}$, ${x}^{3}$으로 표현하는 규칙도 만들었지. 데카르트의 방법이 훨씬 쓰기에 편하다는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