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중"(으)로 총 1,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탈출하자, 무인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로빈슨의 머리를 자르기 시작했어요.“아니, 갑자기 뭐 하는 거야!”“진정해요, 로빈슨. 나중에 구조되면 방송에서 인터뷰라도 할 텐데 머리 단장이라도 해야죠.”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태양의 고도는 언제 가장 높을까? 태양은 하루 동안 고도가 달라져요. 24시간마다 동쪽에서 떠서 남쪽을 ... ...
-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질병을 기술로 극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각을 읽어내 뇌파로 소통하고, 더 나중엔 컴퓨터에 기억을 저장하는 것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는 포부를 밝혔답니다. ●인터뷰“생각을 컴퓨터에 업로드 하는 그날까지!”임창환(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생체공학부 교수) Q지난 8월 공개된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땅을 파면 자석이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자석 하나를 더 꽂아 넣는 거예요. 그러면 자석이 서로를 밀어내는 힘인 ‘척력’ 때문에 나중에 꽂아 넣은 자석이 위에 둥둥 떠 있답니다. 이는 레일 위를 살짝 떠서 달리는 ‘자기부상열차’의 원리이기도 하죠. ※협찬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갖고, 알기 위해 연구할 뿐이에요. 특별한 이유가 필요하지 않지요.이러한 연구들은 나중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되기도 해요. 코로나19 같은 전염병은 또 생길 수 있잖아요. 연구 결과가 있어야 전염병에 대한 대책을 빠르고 정확하게 마련할 수 있답니다. Q 박쥐 연구가 특별한 점이 있을까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콩의 변신은 무죄! 콩으로 두부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넣고 믹서기로 간다.③ 면포로 콩물을 짜고 콩 찌꺼기를 거른다.이 찌꺼기가 바로 비지! 나중에 맛있게 비지찌개를 만들어 먹을 수 있다.④ 콩물을 끓인다. 이때 콩물이 냄비 바닥에 눌러붙지 않도록 저어준다. 250ml의 물에 식초 2스푼, 천일염 1스푼을 넣어 간수를 만들고, 콩물이 끓으면 간수를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깃털, 원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해방 후 서울의 한국은행 금고에 보관되어 있었어요. 그런데 한국전쟁 때 사라졌다가 나중에 쓰레기통에서 발견되었지요. 북한군이 금고의 귀중품을 훔쳐가면서, 원기의 용도를 알지 못하고 버린 것이죠. 이후로 우리나라는 3개의 킬로그램 원기를 더 도입했지요.지금은 미터와 킬로그램의 정의가 ... ...
- [이달의 과학사] 마시 vs 코프 세기의 ‘화석 전쟁’, 승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훔치고, 심지어 화석을 캐지 못하도록 채석장을 다이너마이트로 폭파하기도 했어요. 나중에는 다툼이 커져 인부들이 상대편에 돌을 던지며 싸우기도 했지요.하지만 치열한 싸움의 승자는 마시와 코프, 그 누구도 아니었습니다. 오랜 경쟁 끝에 돈을 다 써버린 그들은 파산해 말년에 가난에 ... ...
- [JOB터뷰] 따뜻한 사회역학자, 김승섭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9에 걸렸다 나은 친구들이 주변에 있다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가졌으니 나중에 이 병이 재유행하더라도 바이러스의 전염 가능성을 떨어뜨리는 장벽이 되어 줄 수 있어요. 과학적으로 생각하면 막연한 공포로 인한 낙인과 차별을 피할 수 있죠. 어과동 친구들은 과학의 힘을 신뢰하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메흐씨, 메흐씨(Merci, 고맙습니다)! 그게 좋겠군요. 제 소행성이 살기 좋은 곳이 되면, 나중에 탐정님도 놀러 오셔요!”떠나는 어린 왕자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꿀록 탐정이 비행 조종사에게 물었어요.“그런데 있잖아, 어린 왕자님이 처음 들어오면서 뭐라 말씀하신 거야?”“‘내 친구가 되어줘. 난 ... ...
- 알아두면 쓸모 있는~ 수학동아 알차게 보는 꿀팁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수학을 계속 잘할 수 있는 동기’를 찾는 게 중요해요. 학창 시절에 수학을 잘한다고 나중에도 잘하는 건 아니라서 내가 왜 수학을 잘하고 싶은지, 어떤 수학에 관심이 있는지를 아는 게 중요해요. 인공지능은 물론 건축과 배송 등 여러 분야에서 수학이 활약하고 있으니 관심 있는 주제부터 수학이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