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여러 가지 주파수를 동시에 관측하는 것은 ngEHT의 중요한 특징이다. 기존 EHT는 파장 길이가 1.3mm인 230GHz를 수신한다. 반면 ngEHT는 86GHz, 230GHz, 345GHz를 동시에 관측한다. ngEHT가 기존 230GHz보다 훨씬 더 높은 345GHz를 새로 채택한 것은 분해능을 높이기 위해서다. 지구를 벗어나지 않는 한 ...
- [꿀꺽! 수학 한 입] 몬스터, 절대 빠져나갈 수 없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관계란 어떤 도형이 크기만 다르고 모양은 같은 것을 말해요. 세상의 모든 원은 반지름의 길이에 따라 크기만 달라질 뿐, 모양이 똑같아서 언제나 닮은 관계예요. 크고 작은 원, 원을 겹쳐 만든 호와 활꼴 등이 어우러진 무늬는 마법진 같기도 하고, 꽃송이 같기도 해요. 예시를 보고 따라 하거나, ... ...
- IMO 출신, 대학원생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우리나라 IMO 대표 출신 대학생, 대학원생이 이번 IMO에 문제선정위원, 코디네이터로 대거 참여했어요. 수학과 IMO를 향한 웬만한 애정이 없으면, 시간을 쪼개 IMO에 ... 다양한 가치관을 가진 사람을 많이 만나보는 것도 인생에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세상엔 생각보다 다양한 길이 있더라고요 ... ...
- [과동키즈] 과학자, 작가, 예술가의 공통점은 ? 가치관에 대한 끝없는 고민이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어릴 때부터 꿈을 그림으로 그리라고 하면 과학자와 경찰관을 번갈아 그릴 정도로 과학에 흥미가 있었습니다. 판검사는 어떠냐는 부모님 말씀에도 아주 ... 언젠가는 어린 시절 상상했던 모습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걱정하기보다는 과학의 길로 과감히 나아가는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 ...
- IMO는 인생의 전환점! 수학 영재는 무슨 일을 할까?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처음 들었을 때 낙심하고 방황했지요. 제가 계속 해왔던 게 수학이라 그때 가서 다른 길을 찾으려고 하니까 쉽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군 휴학을 포함해 학부를 7년 반 만에 졸업했어요.” 방황의 종지부를 찍어준 건 암호학 수업이었어요. 진로를 탐색하기 위해 대부분의 수학과 전공을 들어보던 중 ... ...
- [최신 이슈] LK-99 논란으로 다시 본 상온 초전도체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전자는 양전하가 강해진 트랩에 빠르게 끌려들어온다. 먼저 지나간 전자가 닦아 놓은 길을 뒤에 있는 전자가 따르는 것이다. 이렇게 두 전자가 쌍을 이뤄 움직이는 것을 쿠퍼쌍이라 한다. 방윤규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 소장(포스텍 물리학과 교수)은 “지금까지 초전도체를 설명할 수 있는 ... ...
- [SF소설] 플로리다와 나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예전엔 볕을 받으며 걷는 게 그렇게 좋았다. 이젠 아니다. 이제 태양은 나를 지치게 한다. 길바닥에 화분을 쏟아버리고 싶은 마음을 누르며 병원에 갔다. 식물 병원은 상상했던 모습과 달랐다. 식물원을 상상했건만 실제로는 현대적인 전문 병원에 더 가까워 보였다. 흰색으로 깔끔하게 도배된 ... ...
- [커리어] 3화.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STEM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풀어보는 과정이 필요해요. 학생들은 어려운 문제를 만났을 때 쉽게 포기하거나 쉬운 길로 가려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방식으로는 약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합니다. 문제가 어려울수록 끈기있게 파고들며 자기 힘을 기르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결국 공부를 잘하고 싶다는 것은 자기 ... ...
- IMO 대표를 수학자로 이끈 결정적 순간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됐어요. IMO 대표가 되었든 되지 않았든 이 모든 과정이 여러분의 삶에 단단한 밑거름이 되길 바랍니다. 최경수 : IMO 문제를 풀면서 수학은 본질만 알면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는데, 10여 년 후 3번째 논문을 쓸 때도 수학은 본질만 알면 된다는 같은 경험을 했어요. 2003년 IMO 2번 문제는 ‘모든 ... ...
- 난제에 도전한다! 허준이 펠로우수학동아 l2023년 08호
- 기회라고 생각해 한 선택이었지요. 그중 수학을 공부할 때 가장 성취감을 느껴 수학자의 길을 걷기로 했습니다. 대학원 세부 전공은 대학교 3학년 때 새로 부임한 백형렬 KAIST 교수님의 위상수학 특강을 듣고 선택했어요. 풍경을 스케치하듯 위상수학의 대상을 그림으로 설명해주셨는데요. 그림이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