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달
음지
음영
그림자
섀
솔개그늘
솔개
d라이브러리
"
그늘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물고기 호텔, 바다목장이 양식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차례. 우럭이나 볼락은
그늘
이나 약간 어두운 곳을 좋아한다. 그래서 바위틈이나 바위 밑
그늘
에 많이 모인다. 사람으로 치면 하늘이 바로 보이는 곳보다 천장이나 지붕이 있는 장소를 좋아하는 셈이다. 인공어초를 설계할 때는 이런 습성을 고려해야 한다. 기존에 사용하던 인공어초 내부 너비는 약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느껴지기도 한다. 그림자가 2개니 나무
그늘
도 2배나 넓어지겠지만, 정말로 시원한 진짜
그늘
은 오히려 줄어든다. 오직 2개의 그림자가 겹치는 부분에서만 2개의 태양으로부터 쏟아지는 햇빛을 온전히 가릴 수 있기 때문이다.알록달록한 무지개를 하나 더 볼 수 있다는 것은 유쾌한 일이다. 비갠 후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시작되기 전까지 꽃들이 만발하는데, 이때가 가장 바쁜 시기라고.한참을 걷다보니 나무
그늘
에 오롯이 자리를 잡은 백작약 한포기가 눈에 들어온다. 가운데 줄기 위에 호두알보다 조금 작은 꽃봉오리가 봉긋이 솟아있다. 꽃이 피려면 며칠 더 기다려야 한단다. 작약과(科)의 다년초인 백작약은 ... ...
숲이 잉태한 자연과 인간, 숲으로 돌아가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준다.그가 발견한 숲은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공간이었다. 강가에 늘어진 나뭇가지는
그늘
로 수온을 조절해 어린 연어가 살기에 적당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포식자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은신처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다자란 연어는 자신이 태어난 강가로 돌아와 산란과 동시에 죽음을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한시간에 무려 3L의 땀이 증발되기도 한다. 따라서 마실 물이 부족하다면 무조건
그늘
을 찾아 쉬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물을 마셔 흘린 땀을 보충하지 않으면 탈수가 진행된다. 몸속의 물 중 3-4%가 줄면 갈증이 심해진다. 마라톤을 완주했을 때 수준인 5-8%를 잃으면 극심한 피로와 현기증을 느낀다.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가능한 이유는 아직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한편 사구지대의 식물은 다른 나무의
그늘
에 가려 보호받지 못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햇빛에 장시간 노출돼 있다. 여기에 지표면의 반사열까지 더해지면 식물의 체온은 계속 상승하게 된다. 식물의 체온이 35℃를 넘으면 광합성 작용에 필요한 효소가 ... ...
태양에너지 무선전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발전을 할 수 없다.반면 정지궤도 상에 설치되는 우주태양광발전소는 1년에 두번 지구의
그늘
에 가려져 발전할 수 없는 ‘식’을 제외하고 거의 24시간 발전이 가능하다. 게다가 태양에너지의 강도가 지상의 약 2배나 된다. 또한 일조 시간은 지상의 4-5배기 때문에 발전량은 8-10배에 달한다. 요컨대 ... ...
월드컵 하늘에 방패연 띄운 다윗 - 류춘수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장대를 세우고 광목을 씌운 뒤 줄로 천을 팽팽하게 당기면 천막이 만들어진다. 천막
그늘
아래서 잔치판이 벌어진다.상암 월드컵 경기장은 이런 천막을 ‘막 건축’이라는 최신 기술로 현대에 재현했다. 다만 소나무 장대 대신 철골 마스트(막대)를, 새끼줄 대신 케이블을, 광목천 대신 아크릴이나 ... ...
버팀목 줄기 감아 고사시키기도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이름의 나무다. 아카시나무 비슷한 잎을 수없이 뻗어 한여름의 뙤약볕을 피할 수 있는
그늘
을 만든다.그러나 나무라는 이름이 부끄럽게 처음부터 곧게 일어서지 못하고 기어다니기 전문인 ‘뼈대 없는 집안’의 자손이다. 숲 속의 커다란 나무 밑에서 아무리 이리저리 기어 다녀도 햇살의 은총을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태양빛을 오래 바라보면 눈에서 눈물도 난다. 이때 가장 좋은 방법은 큰 건물 아래
그늘
로 들어가서 일단 건물의 꼭대기가 태양을 가리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때 정남 방향의 하늘은 트여야 한다. 이런 상태에서 하늘을 쳐다보면 훨씬 더 금성을 찾기가 편리할 것이다. 소형 쌍안경을 활용하면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