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론"(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어떻게 길을 찾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알려져 있어요. 이를 통해 연구팀은 철새가 이동 경로를 기억하는 데 ADCY8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죠.철새는 다양한 감각으로 모은 증거를 기억과 비교하면서 길을 찾아요. 새들은 여행하면서 본 산과 강, 해안 등 다양한 지형지물을 기억해요. 지형지물이 없는 바다에서는 태양의 고도와 별자리로 ... ...
- [인터뷰] “도시 다양성·복잡성 살릴 모빌리티 실험 필요해”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들여 힘들게 모여 살 필요가 없으니 도시가 사라질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물론 당시 결론은 ‘그래도 도시는 사라지지 않는다’였고, 실제로 도시는 여전히 건재하다. 사람들은 전화를 걸어 만날 약속을 잡았고, 만남에 대한 욕구는 줄어들지 않았다. 모여 살고픈 수요도 사라지지 않았다.20년 뒤, ... ...
- [기획] 6600만 년 전 백악기, 수학으로 되돌려보는 지구의 모습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충돌 이전 250만 년 동안 약 12만 7000세대가 이어졌으며, 따라서 약 25억 마리가 살았다는 결론을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프랑스, 영국, 캐나다의 국제 연구팀이 소행성 충돌보다 약 1000만 년 더 이른 시점인 7600만 년 전부터 이미 초식 공룡이 감소하고 있었다는 것을 6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 ...
- [수담수담] 몸으로 느끼는 수학은 좋은 기억을 남겨요-손대원 진주외국어고등학교 수석 교사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노력한 대로 점수가 쑥쑥 올랐어요. 또 과정을 이해하면서 어떤 명제로부터 규칙에 따라 결론을 이끌어 내는 연역적 접근 방식이 마음에 들었어요. 삼각형의 무게중심을 배울 때는 중선 3개가 한 점에서 만난다는 사실 자체가 너무 신기했고, 무게중심이 중선을 2:1로 내분한다는 사실이 놀라웠죠. ... ...
- [SF 소설] 당신의 신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모양처럼 행복할 때 내 심장 파동을 전파로 찍어보내면 어떨까. 고민 끝에 한 가지 결론을 내렸다. 어차피 내가 그들의 신호를 그저 막연히 악보라고 유추하는 것처럼 그들도 내 신호를 정확히는 못 알아들을 거라는 결론. 그래서 오히려 무엇을 보내든 괜찮을 것 같았다. 정서를 담는 게 더 ... ...
- 집사 길들이려면 집사 말 정도는 알아야옹~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분석해 사람의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을 구별해낼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결론내렸습니다. doi: 10.1098/rsbl.2015.0883집을 실컷 어질러놓고 주인 눈치를 보는 개의 모습은 화가 나려다가도 쏙 들어가게 귀엽죠. 개는 자신이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할 때 사람의 ‘눈치’를 보며 문제를 ... ...
- [논문탐독] 카메라 단 한 대로 보행자 찾는 자율주행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행복하게 자동차를 탈 수 있을지 고민했습니다. 그 결과, 컴퓨터에게 운전을 맡기자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컴퓨터가 판단을 하는 기술, 인공지능(AI)입니다.컴퓨터에게 판단을 맡기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교육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런 시도를 ‘머신러닝’이라고 부릅니다. 머신러닝은 탄생 8 ... ...
- [SF소설] 랄로랑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처음 관측한 건 25년 전이지만 태양이 너무 어둡고 물리량을 특정하기도 어려워서 결론을 내는 데 오래 걸렸어요. 하지만 확실해요. 이 그래프의 곡선은 4만 9000광년 너머에 있는 지구가 태양 앞을 지나가면서 그린 거예요.」손가락 끝으로 그래프를 어루만진다. 태양을 공전하는 지구의 호흡이 ... ...
- 밥이 보약이 될수 있다? 식품 광고 대해부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기준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해당 식품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는 겁니다. 이제 막 이슈가 된 타트 체리, 크릴 오일 등의 식품은 아직 갈 길이 머네요.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연구결과가 충분히 쌓여 효능이 검증되고, 용법과 품질 관리의 기준이 명확한 ...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400cm³의 작은 두뇌가 과연 예외적이었는지 또는 새로운 화석종의 특징인지는 아직도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수만 년 전 남겨진 흔적은 석기뿐만이 아니다.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에서 발견된 4만 4000년 전의 벽화에는 동물과 함께 반인반수가 그려져 있다. 술라웨시섬 역시 플로레스섬처럼 해수면이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