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장
초연
개회
개통
d라이브러리
"
개막
"(으)로 총 308건 검색되었습니다.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보도될 정도였다.우주복 테스트에 기구 활용 1950년대에는 우주비행시대의 본격적인
개막
에 필요한 연구가 기구를 통해 이뤄졌다.1957년 미 공군 소속의 조 키팅거는 30km 고도에 도달했다. 이 고도에서 그는 높은 고도 환경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낙하산을 등에 ... ...
4. 사무실_공간 혁명은 사무실에서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못했던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지 모른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사무실의 시대가 어떻게
개막
될지는 짐작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단어를 만들었던 마크 와이저가 제기한 기본 명제들 속에서 미래 사무실의 모습이 발견되기 때문이다.구시대 유물된 컴퓨터 현재의 데스크탑 컴퓨터는 ... ...
손바닥 방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다물지 못했다. 이 놀라운 소식은 팔도 전역으로 삽시간에 퍼져 나갔다. 라디오 시대의
개막
, 한국의 방송은 이렇게 경이와 탄성 속에 기지개를 켰다.그로부터 80여년. 라디오에 이어 흑백 TV를 거쳐 컬러 TV의 시대가 차례로 열렸다. 지난 2002년부터는 고화질 디지털 TV방송이 시작됐다. 그 사이 위성 ... ...
성큼 다가선 성층권 비행선 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매머드급 비행선의 시대. 성층권 비행선의 개발은 바로 그 핵심에 있다.비행선 시대의
개막
비행선의 모체는 1783년 몽골피에 형제가 만든 열기구였다. 공기 팽창의 원리를 이용한 이 기구는 고도 2천4백m까지 날아오르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하늘을 날고자 하는 인간의 꿈은 기구만으로는 만족할 수 ... ...
주인 바뀐 렘브란트 작품 속 얼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17세기 당시 세계 미술계를 이끈 네덜란드 화가들의 작품들이 국내에 선을 보였습니다.
개막
첫 주말 1만6천여명의 인파가 몰려 덕수궁미술관 개장 사상 첫3일 최고 관람객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거장의 그림을 맨눈으로 직접 볼 드문 기회이니 당연한 결과겠지요.사실 이번에는 렘브란트의 ... ...
3 표적 암세포만 정확히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처음으로 양성자용 회전조사대(gantry)를 설치함으로써 본격적인 양성자 치료시대를
개막
했다. 회전조사대는 빔을 어느 각도에서도 조사할 수 있는 장치로, 종양부위를 중심으로 여러 각도에서 조사함으로써 입사되는 부분에 있는 정상세포에 주어지는 선량은 최소화하면서 중심에 있는 종양에 주는 ... ...
5년 뒤 우리의 생존수단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이공계 진출 촉진과 과학기술인 사기진작 등을 쟁점과제로 설정했다.지방 과학시대
개막
업무보고의 최대 화두는 반도체 이후 5-10년 뒤 우리나라가 무엇으로 먹고살 것인가였다. 박 장관은 반도체 이후 주력산업으로 IT(정보기술)·BT(바이오기술)·NT(나노기술) 등의 차세대 기술을 선정해 초일류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시대의
개막
은 인류의 문명에 커다란 변화를 안겨줬다. 사진에 만족해야 했던 각종 정보를 눈앞에서 생생하게 감상한다는 디스플레이 개념은 그야말로 엄청난 혁신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가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 디스플레이의 중요성은 두말 할 나위 없이 더욱 크다. ... ...
우주를 이해하는 표본 태양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감마선, 태양풍 등은 지구 대기에 막혀 지상에서 관측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우주시대의
개막
과 함께 1960년 초부터 우주공간에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태양관측이 시작됐다.태양 표면에서는 여러가지 활동적인 현상이 일어난다. 수초만에 발생해 사라지는 것에서 수일에 걸쳐 일어나는 것까지 이들 ... ...
한밭벌 달군 영재들의 사이언스 워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문제를 출제했다. 서버 침투해 흔적 남겨라해킹 대회는 행사의
개막
식이 열리는 오후 7시 30분부터 12시 30분까지 5시간 동안 진행됐다. KAIST에서는 고교 시절부터 해킹을 독학했다는 박형민군(전자공학, 01학번)과 이희종군(전산학, 01학번)이, 이에 대항하는 포항공대에서는 학내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