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가
재초
전가
d라이브러리
"
개가
"(으)로 총 337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각양각색 경기장 지붕에 숨은 의미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기둥을 없애면서도 장대한 공간을 덮어야 하는 지붕은 첨단 건축공학과 구조역학의
개가
다. 별다른 특징없이 밋밋한 관중석과 그라운드, 기타시설과는 달리 지붕은 그 경기장의 특색을 말해주는 얼굴이다. 한국 월드컵 경기장을 둘러보며 우리 건축의 수준을 가늠해보자.경기장 건축의 백미 - 서울 ... ...
1 개인별 맞춤약물 제조시대 개막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맞는 치료법을 제시한다. 염기 하나 바뀌어 달라진 운명화정이처럼 유전자 염기 한두
개가
바뀌어 유전적 운명이 달라지는 현상을 ‘단일염기변이’(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라고 한다. 모든 사람은 DNA가 99.9% 같다. 30억개의 염기 가운데 0.1%, 즉 3백만개의 염기가 사람마다 다르다. 이것이 바로 . ...
4 세계 수준의 한국형 MEMS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능력을 가질지 여러면으로 모색중이다.이제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개발사업의 또다른
개가
를 살펴보자. 지난해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부 장준근 교수와 디지털바이오테크놀러지사가 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주문형 일회용 플라스틱 마이크로칩을 개발했다.이 마이크로칩은 칩에 올려진 생화학 ... ...
테러범 잡는 탐지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수 있다. 그런데 모든
개가
탐지견이 될 수 있냐고 묻는다면 대답은 “아니오”다. 모든
개가
뛰어난 후각능력을 갖고 있지만, 폭발물을 찾는 일은 그만큼 쉽지 않다는 얘기다. 셰퍼드가 적격, 진돗개는 안돼지난해 12월 미국 아메리칸항공 소속 보잉 여객기에서 벌어진 폭발물 위협 사건을 예로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훨씬 넘어 1997년 9월 27일, 원인모를 통신두절이 있기까지 작동함으로써 우주과학기술의
개가
를 올리기도 했다.2003년에는 이를 바탕으로 한단계 발전된 이동 차량을 보내게 된다. 가장 큰 차이점은 기동성이다. 소저너가 한달 걸려 움직였을 거리를 이 차량은 하루면 갈 수 있다. 따라서 더욱 넓은 ... ...
기상천외한 동물의 의사소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보기만 해도 무슨 뜻이라는 점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자기들끼리의 표현 방식이지만
개가
아닌 사람이 봐도 어느 정도 의미는 찾아낼 수 있다는 말이다. 바로 이런 방법을 통해서 동물의 의사소통에 서서히 접근해가는 것이다.동물들이 서로 의사를 전달하는 수단 중에는 시각과 청각을 이용하는 ... ...
겨울밤 화려하게 뿌려진 보석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나머지 하나는 몸통을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그나마 이해가 갈 것도 같다. 두 별을 이어서
개가
물고 있는 개뼈다귀쯤으로 생각하는 편이 나을 듯하다. 알파(α)별 프로키온은 개에 앞선다는 뜻이다.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시리우스보다 일찍 떠올라 곧 시리우스가 나타날 것을 미리 알려주므로 붙은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증명한다(그림 4).한반도에 인류가 처음 출현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가축화 된
개가
유입된 시기는 북방인들이 남하하기 시작한 1만년 전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 이주민들의 유입 때마다 외래 개들이 주민들과 함께 들어왔을 터이며 먼저 유입된 개와 혈통이 섞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 ...
항암제 선두주자로 나선 제약계의 최고참 '동화약품'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항암제 ‘선플라주’와 대웅제약의 당뇨성 족부궤양 치료제 ‘EGF’에 이은 국내 세번째
개가
다. ‘신약이라니 대단한데’ 하면서도, ‘우리나라에서 이제 겨우 세번째 신약이 개발된거야’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 말을 곰곰이 생각해보면 신약 하나를 만드는 일이 그만큼 보통 일이 ... ...
여성이 남성보다 뛰어난 6가지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여성이 훨씬 뛰어나다.한편 Y염색체는 돌연변이 빈도는 높지만 대부분 염기 한두
개가
바뀌는 점돌연변이가 많다. 반면 여성 유전자는 잘 바뀌지 않는 대신 한번 바뀌면 수십개의 염기가 없어지거나 삽입되는 형태의 ‘왕창돌연변이’다. 점돌연변이는 대부분 자녀에게 유전돼 전달되지만,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