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소
감퇴
감량
저하
하락
수축
점감
d라이브러리
"
감소
"(으)로 총 2,261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대멸종 그 이후, 소행성 충돌로 아마존 열대우림 만들어졌다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대충돌 전에는 유카탄반도에 침엽수와 고사리가 풍부했지만, 충돌로 식물의 종류가 45%
감소
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특히 씨앗을 가지고 있는 식물이 주로 사라졌고 600만 년의 시간이 흐른 뒤에야 꽃을 피우는 식물들이 많아졌죠. 또 충돌 전에 침엽수가 대부분이었다면 그 이후에는 더 큰 나무와 ... ...
미래 모빌리티 도시 공간구조를 바꾸다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이동하니 훨씬 수월하다. 따라서 국내 도시 간 이동을 위한 대중교통 이용은 현저히
감소
할 것이다. 편리함보다 도시의 지속가능성 고려해야 드론 모빌리티도 요즘 주목을 받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025년까지 사람이 드론에 탑승해 이동 가능한 2인용 드론 택시 개발을 목표로 세웠다. 탑승자가 ... ...
[수학뉴스] 코로나19로 인한 피로도의 영향 연령별로 다르다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지날수록 사회적 비용이 더 크게 드는 젊은 그룹에서부터 거리두기를 지키려는 의지가
감소
한다는 것을 수학 모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연구에 대해 이완호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의료수학연구부 수리모델링팀 팀장은 “수학 모형은 피로도나 심리적 요인과 같이 눈에 보이지 않는 ... ...
[기획] 6600만 년 전 백악기, 수학으로 되돌려보는 지구의 모습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연구팀이 소행성 충돌보다 약 1000만 년 더 이른 시점인 7600만 년 전부터 이미 초식 공룡이
감소
하고 있었다는 것을 6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밝히기도 했습니다. 북미와 몽골 등에서 수집한 공룡 뼈 화석 1600여 개를 분석해 날씨가 추워지면서 7600만 년 전 새로운 공룡 출현율이 ... ...
[인터뷰] 전기차 성능의 핵심 배터리의 미래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있지 않나. 날씨가 추우면 리튬이온배터리 효율이 낮아져 전기차의 주행거리가 30~40%
감소
한다(오죽하면 일부 운전자들은 배터리 효율이 가을에만 좋다며 전기차를 ‘가을전어’라고 부른다). 영하의 조건에서 날아야 하는 비행기에 현재의 리튬이온배터리를 적용할 경우 효율이 극도로 낮아진다. ... ...
전기차에 날개 달 미래 기술5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약 500회 충전한 리튬이온배터리는 점차 성능이 떨어져 주행거리가 줄어들고 충전 속도가
감소
한다. 전기차 배터리의 성능이 초기 대비 80% 이하가 되면 교체 대상인 폐배터리가 된다. 환경부에 따르면 국내 폐배터리는 2020년까지 전국 493개였지만, 2023년에는 1만 3826개가 더 쏟아질 예정이다. 2026년이 ... ...
친환경 물류부터 라스트 마일 배송까지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도심 속으로 스며들 가능성이 높다. 물류 이동의 효율이 높아지며 화물 교통량이
감소
할 것이다. 이는 도시의 확장과 축소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대비 25%, 6월은 49%가량
감소
한 것으로 나타났다. doi: 10.17820/eri.2020.7.4.238여름 강우량의
감소
는 하천 주변 식생을 변화시키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버드나무 등 국내 하천 주변에 서식하는 식생은 봄에서 초여름 사이에 발아한다. 이들 식생은 하천 주변 공간 중 강물보다 어느 정도 높은 ...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환경이 구축되면 AI와 IoT 장치의 활용도도 더욱 높아진다. 우선 서버에 집중된 연산량이
감소
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많은 데이터가 몰려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해킹에 대한 우려도 상대적으로 적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모든 데이터가 집중된 서버만 해킹해도 연결된 모든 기기에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이 입자는 강을 따라 이동하기 쉬운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장마철이 지나고 유량이
감소
해 유속이 점점 느려지면 강을 따라 이동하던 자갈, 모래 등이 차곡차곡 쌓인다.그래서 과거 한강의 하천 바닥과 양 옆에는 모래 등이 쌓인 톱이 나타나고 하중도가 많이 관찰됐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