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상공간"(으)로 총 6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보화 사회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편의성을 누리고 있다. 예를 들어 이제는 익숙해진 인터넷 뱅킹, 인터넷 쇼핑등이 가상공간이 제공하는 대표적인 편의성에 해당한다. 전자페이퍼를 통해 여러 종류의 신문을 모두 읽을 수 있고, 가까운 미래에는 입고 있는 옷에 컴퓨터가 내장돼 사무실 이외에 어느 장소에서든 다른 사람들과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찌릿~’.왼쪽 팔이 살짝 아려 온다. 또 아침이 온 모양이다. 이놈의 전자칩은 이식 10년이 되도록 도통 익숙해지지를 않는다. 특히 이렇게 추운 날 아침잠을 깨울 땐 몸속에 흐르는 전기자극이 여간 짜증나는 게 아니다. ‘찌릿찌릿~’ 따뜻한 이불 속에서 늑장 좀 부렸다고 종전보다 강한 자극이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죄송해요. 아침인데, 그것도 사무실에서 시끄럽게….”“괜찮습니다. VR의 가장 큰 장점이 몰입감과 현장감이니까요.”서동일 볼레 크리에이티브 대표는 자주 겪는 일인 듯 웃으며 말했다. 그는 공포를 ‘보는’ 것과 VR로 ‘느끼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공포 영화는 사건이 TV 속 ... ...
- [과학뉴스] AI로 마음껏 날아다니는 ‘가상 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만든 새를 가상공간에서 스스로 날아다니도록 만들 수 있을까. 국내 연구팀이 가상으로 만든 비행생명체(오른쪽 그래픽)를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제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AI ‘알파고’에 적용된 딥러닝 기반 강화학습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기술 1. 가상현실, 진짜보다 더 진짜 같다?! 오전 10시, 기자단 친구들은 전시가 시작되는 시간에 맞춰 주제전시관을 찾았어요. 이미 전시관은 많은 사람들로 북적이고 있었지요. 그 중에서도 ‘VR 라이딩’이 사람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았어요. 기자단 친구들도 가장 먼저 VR 라이딩 기구에 올라타 ... ...
- Part 2. 혼합현실을 만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컴퓨터로 혼합현실을 만난다!올해 5월 11일, 마이크로소프트는 미국 시애틀 워싱턴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행사 ‘빌드 2017’에서 ‘윈도우10 MR’을 발표했어요. 윈도우는 여러분이 사용하는 컴퓨터에 적용된 ●운영체제예요. 전세계의 개인용 컴퓨터 90% 정도에 사용될 정도로 많이 쓰이고 있지요. 이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름 모름. 여성. 32.1세. 행복과 약간의 공포(fear).” 10월 말,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인지로보틱스연구부의 한 실험실. 얼굴 인식 인공지능(AI) ‘딥미러(deep mirror)’가 처음 만난 기자의 얼굴을 분석한 결과다. 얼굴 정보만으로 용케 여성임을 알아봤다. 활짝 웃으면서도 내심 긴장했던 기자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에어록(air lock·오염된 외부 공기의 침입을 막기 위해 문을 이중으로 설치한 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차단하고 탄소 필터가 달린 물 재생시스템으로 식물을 키우고 있다. 여기서는 물 사용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식물이 이곳 주민처럼 소중하게 느껴진다.”_ 조슈아 에를리히 대원 “해발 2500m에서 ... ...
- 한글의 美, 기하학 만나 추상미술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대개 사과를 그리라고 하면 누가 봐도 사과인지 알 수 있게 그린다. 하지만 추상미술가에게 사과를 주문하면 도무지 사과라고 믿기지 않는 작품을 내놓는다. 평소 작가가 사과에 대해 느꼈던 감정이나 생각을 작가 고유의 방법으로 나타내서 그렇다. 강은혜 작가에겐 그 방법이 한글을 선으로 추상 ... ...
- [Career] “사람도, 연구도 융복합에서는 최고가 되겠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1호 펠로우’인 손상혁 총장은 사이버물리시스템(CPS·Cyber Physical System) 연구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다. 컴퓨터과학에 흥미를 느끼고 공부를 더 해보겠다고 1980년대 초 미국에 건너간 것이 30년이 돼버렸다. “한국에 도움이 돼야겠다는 마음의 빚이 항상 있었다”는 손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