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위"(으)로 총 1,021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석 감정 현장 탐방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311
- 모든 감정법이 물리학, 화학, 광물학을 기초로 하고 있어요. 제가 보석공학과에서 박사학위까지 받은 것도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서였어요. 웬만한 논문은 손쉽게 읽을 정도로 탄탄한 배경 지식이 요구된답니다.또한 보석감정사의 무대는 전세계이기 때문에 외국어 능력은 필수예요. 사전을 끼고 ... ...
- 병원에서 귀신도 쫓나요?과학동아 l201311
- 병원일까 하는 의심이 들어서 원장의 약력을 찾아봤습니다. 유명 한의대를 졸업해서 박사학위까지 받은 사람입니다. 저서도 몇 권 있고요. 이게 사실이고 이 한의원이 정식으로 인가를 받은 병원이라면 충격이 큽니다. 언제부터 빙의가 의학적인 진단명이 된 걸까요? 이건 검증되지 않는 치료법 ...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과학동아 l201311
- 나면서 확대된 것이다.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일상을 쪼개 멘토링을 해준 학생들이 박사학위를 받고, 의사가 되고, 자신이 하고 싶어하는 일을 하고 있다며 찾아오면 그는 ‘이 일을 잘 했구나’하는 생각이 든단다. “꿈을 많이 꾸고, 포트폴리오를 끊임 없이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해요. 그렇게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11
- 측정 과학기술위성 2호(A, B) 2009, 2010년 우주과학 연구(나로호 발사 2차례 실패) 나로과학위성(2C) 2013년 1월 우주과학 연구 과학기술위성 3호 2013년 하반기 우주, 지구 관측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1호 1999년 지상, 해양, 과학 관측 아리랑 2호 2006년 지상 관측 아리랑 3호 2011년 지상 관측 아리랑 3A호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 (이진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에너지센터장)과학동아 l201311
- 보냈고, 틈만나면 공부에 매진했다”고 설명했다. 이 결과 이 센터장은 짧은 시간에 박사학위를 거머쥐고 한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요즘은 대사공학 등의 기술이 좋아져 미생물을 이용해 휘발유 등을 만드는 실험도 일부 성공하고 있지만, 당시에는 ‘에탄올(알코올의 일종)’ 정도만 조금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11
- 시절, 든든했던 직장을 멀리하고 소신 대로 대학원 석사 과정에 입학했다. 그는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박사 과정으로 가지 않고 다시 기술 현장으로 뛰어들었다. 이번에는 대기업이 아닌 네트워크 장비를 연구하는 벤처기업이었다. 벤처 열기가 한창이었지만 그가 몸담았던 회사는 결국 어려워졌고, 2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11
- 1998년에 생명정보학으로 창업했지만 결과는 실패였다. 또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박사 학위를 할 때 창업하고 실패했다. 한국에 와서도 창업한 경험이 있다. 모두 생명정보 관련 기업이었다. 하지만 번번이 실패했으며 현재 테라젠이텍스 게놈사업부도 상황이 그리 여의치는 않다. 과연 박 소장이 보는 ...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11
- 붐도 불어서 우리나라 정보통신부에서 벤처 경진대회를 열기도 했지요. 여기에 박사 학위를 받은 기술로 응모를 했는데, 상을 받았어요. 그러자 벤처 캐피탈리스트가 자금을 댈 테니 한국에서 사업을 하자고 제의했지요. 하지만 사업을 하려면 미국에서 하지 뭐하러 한국에서 하나 싶었어요. 벤처 ... ...
- [체험] 세상을 이끄는 수학 고수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10
- ”양 박사는 서울대 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응용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수학을 박사까지 마치고 미국의 카드회사에서 마케팅 담당자로 사회 생활을 시작해, 국내 은행과 통신사의 전략본부장을 맡았다. 그리고 지난 해에는 동양인 최초로 세계이동통신협회 ... ...
- 수학으로 두는 신의 한 수, 바둑수학동아 l201310
-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의 김재완 교수다.김재완 교수는 양자역학 분야의 전문가로, 박사학위 시절 축구공과 모양이 비슷한 탄소 분자인 ${C}_{60}$의 성질을 연구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문득 ‘축구공과 비슷한 이 탄소 분자 모양에 바둑을 두면 어떨까?’란 생각을 하게 됐다. 이런 생각에서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