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장
대통령
사회자
교장
d라이브러리
"
총장
"(으)로 총 188건 검색되었습니다.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05
행사는 심포지움이 주를 이루었으며 연구소의 12개 연구실에서 실별로 발표가 있었다. MIT
총장
의 경축사에 이어,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알랜 케이가 '컴퓨터 혁명의 다음차례'라는 제목으로 발표하였다. "우리가 TV를 틀자마자 그때 방영중인 영화제목을 알아 맞추는데 2초이상 걸리지 않으나 이것이 ... ...
제13회 공군참모
총장
배 모형항공기 대회
과학동아
l
199105
6월 16일에 열리는 공군참모
총장
배 모형항공기대회 본선에 앞서 서울지역 예선대회가 5월 12일(우천시는 5월19일) 보라매공원에서 개최된다. 초·중고등학생은 물론이고 일반인에게까지 참가자격이 주어지는 이 대회는 글라이더 고무동력 유선조정 무선조정 등 네개 부문으로 나뉘어 실시된다.올해로 ... ...
노벨상물리학자「존 바딘」별세
과학동아
l
199103
951년부터 일리노이대학에서 연구를 수행했다.그가 명예교수로 있던 일리노이대학의 모턴
총장
은"어떤 미국인도 뛰어넘지 못할 업적을 이룩한 이 시대의 마지막 거인"이라고 그를 평가했다 ... ...
한국과학재단 강홍렬 이사장
과학동아
l
199102
모두 2백50~3백명의 교수진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지방대학중에서 선정된 곳은 해당대학
총장
의 집중적인 지원약속이 크게 뒷받침 됐어요. 연세대의 연구센터가 한곳도 지정되지 않은 까닭은 전국적으로 사람을 끌어모으지 못했기 때문입니다."강이사장은 우수연구센터의 활약에 많은 기대를 갖고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12
17명이 모여 유전공학학술협의회를 세우고 분위기를 잡아갔다. 초대회장은 현 서울대
총장
인 조완규박사였다.이어 84년에 유전공학육성법이 국회를 통과했고 85년에는 발달사에 큰 획을 긋는 유전공학센터가 설립되었다. 실제로 이때까지는 대단한 붐을 이뤘다. 유전공학자가 결혼대상 0순위로 ... ...
이태규 박사
과학동아
l
199011
인사들이다. 최상업(서강대 명예교수) 장세헌(서울대 명예교수) 한상준(한양대 명예
총장
) 김완규(전 숭실대교수) 이용태(한국정보산업연합회 회장) 김각중(경방회장)씨 등등.아흔을 바라보는 나이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연구와 강의를 거르지않고 있는 이박사를 과학기술원에 있는 그의 연구실에서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11
것이다.지난 3월 한국을 방문했던 얀에릭 린드스텐 노벨의학·생리학상위원회 사무
총장
도 "노벨상은 지적탐구의 사회적 분위기가 매우 중요하며 한국은 지금부터 노력한다면 40~50년후쯤 수상자가 나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허약한 기초과학 토대이렇게 비관적으로 보는 이유는 뭘까. 가장 큰 ... ...
폰즈-플레이시만 발표 이후 1년 상온핵융합, 에피소드로 끝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003
열이 인류의 에너지 문제에 어떤 해결책을 줄 수 있는지를 열심히 설명했다. 유타대학의
총장
은 이런 꿈을 실현시키기 위한 상온핵융합연구소 설립에 쓰일 2천5백~4천만달러의 기금을 제안했으나 하원은 좀 더 생각해보기로 하는 신중한 결정을 내렸다.5월1일 볼티모어에서 열린 물리학회는 폰즈와 ... ...
일본 최고의 명문 도쿄대학 명성 퇴조
과학동아
l
199001
출신은 1명뿐(교토대 4명)이라는 것도 이런 비판의 준거로 이용되고 있다. '도다이'의
총장
'아리마 아키토'씨는 여러 비판에 대해 "정부지원이 부족해 모든 국립대학이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이며 양과 질에서 도다이를 따라올 대학은 없다"고 말한다.어쨌든 과거에 비해 도다이의 명성은 퇴색하고 ... ...
농업기상학
과학동아
l
198911
수표를 만들어 수위를 재고, 바람깃대로 풍향과 풍속을 알아내고, 지진 햇무리 달무리 극광의 관측을 통해 농업기상학을 태동시켰다.●- 수표를 발명하다비가 오면 강물이 불어난다. 이것은 자연의 이치다. 세종 때의 학자들이 그것을 몰랐을 리 없다.다만 그때까지는 '물이 많이 불어났다','물이 말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