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역"(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 1. 공룡시대의 주역들과학동아 l199608
- 사냥 즐긴 폭군들중생대를 지배했던 육식공룡들은 주로 수각룡들이었다. 수각룡들은 두발로 걸어다니면서 날카로운 이빨과 예리한 발톱을 무기로 다른 동물들을 사냥했다. 그 계보를 살펴보면 트라이아스기에는 헤레라사우루스, 코엘로피시스가 살았다.쥐라기에는 딜로포사우루스, 하드로사우루 ... ...
- 원격진료·재택교육 급진전 화상회의 : 2.집안에 하버드 강의실, 산간벽지에 서울대 병원과학동아 l199607
- 시유시미는 최근 상용제품으로 등장해 인터넷을 이용한 화상회의 붐을 일으키고 있는 주역. 이 제품은 별도의 고가 장비없이 PC용 비디오 카메라와 마이크만 부착하면 1대1 통신은 물론, 그룹회의나 TV방송같은 다원방식의 통신도 가능한 첨단 시스템이다.화상회의 시스템이 각 학교마다 가지고 있는 ... ...
- 무궁화1호 고품질 통신방송시대 개막과학동아 l199604
- 개, 방송용 3개 등 모두 15개의 중계기가 포함돼 있다. 우리나라의 통신방송혁명을 가져올 주역은 바로 이 중계기들이다.무궁화 1호가 수행하는 첫번째 일은 그동안 빌려 사용했던 인텔샛(INTELSAT)이 제공했던 서비스들을 대체하는 일이다. 경마중계나 사내방송을 위해 사용하는 비디오중계(TVRO), ... ...
- 신경세포간 대화부족 해결과학동아 l199604
- 합리적인 약 디자인법에 근거해 새로운 화합물들을 합성했다.새로운 화합물 합성의 주역은 브라이언 몰로이였다. 그는 릴리 연구소에 들어와 1970년부터 항우울제 합성과제 책임을 맡았다. 그는 항히스타민제의 하나인 디펜히드라민을 실마리로 택해 유사 화합물을 합성하기 시작했다. 기초 ... ...
- 3. 풀어 쓴 디지털사과학동아 l199604
- 자기복제에 의해 64(2³=8, ${2}^{6}$=64)괘로 변화하면서 만물을 표시하는 것이다.태극도형은 주역에서 출발한 것이니 중국의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중국 주렴계가 태극 도형을 처음 만든 것은 1070년인데, 우리나라에서는 그보다 훨씬 전에 태극 상징을 사용해 왔다. 1985년 1 ...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과학동아 l199602
- 과학한국의 주역이 되기 위해 제 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주마가편이라던가. 잘 달리는 KAIST에게 더욱 갈 달리기를 바라면서 졸업생들이 가하는 채찍질을 들어본다. 고객중심의 연구교육이 필요 명 문유헌KAIST를 졸업한지 올해로 벌써 1년 모자란 20년이 된다. 사회에 첫발을 내디딘 후 지금까지 ... ...
- 한국의 우주 개발과학동아 l199512
- 23번째 상용위성 보유국.바야흐로 우리나라도 위성을 보유한 우주시대의 주역이 됐다.오는 12월23일에는 무궁화 1호의 시련을 딛고 무궁화 2호가 발사된다. 여기에 과학기술처가 우주발사센터와 월면 탐사 등의 비책을 발표해 우주시대는 더욱 현실로 익어가고 있다. 그래서 우리별로부터 무궁화, ... ...
- 4 펜티엄프로(P6)발표, 기로에 선 펜티엄 운명과학동아 l199512
- 운명을 피하기 힘들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386이 32비트 구조로서 PC시장 변혁의 주역으로 등장했으니 486의 출현과 함께 1년여만에 주력의 위치를 486에 넘겨주었다. 국내에서 386기종의 수명은 불과 6개월 정도였던 것이다.이같은 프로세서 교체속도를 보면 펜티엄프로가 펜티엄의 자리를 ... ...
-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코르티손과학동아 l199511
- 일부 개선해 1948년까지 5g이상의 '물질 E'(코르티손)를 합성해내는데 성공했다. 합성의 주역은 프린스턴 대학 박사출신인 20대의 루이스 사렛(Lewis Sarett). 그는 메이오 클리닉의 헨치에게 처음 1g의 코르티손을 제공했고 그 후 큰 반응기로 수주일 동안 36단계의 화학반응을 거쳐 1천g을 합성해 전달했다 ... ...
- 1 존재는 밝혀졌지만 형태는 불확실과학동아 l199511
- 없을 때까지 나누었다. 그 결과 혈관 신경 림프관 피부 등이 각각 경락현상을 설명하는 주역으로 등장한다. 물론 부분적으로 이 설명은 의미가 있다. 가령 혈관의 관점에서 본 설명은 경락의 자양기능을 잘 보여주고, 신경 측면에서의 설명은 침자극의 전도를 잘 표현한다. 그러나 그 뿐이다. 그러한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