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케팅리서치
d라이브러리
"
시장조사
"(으)로 총 4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계없는 커뮤니케이션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503
2006년 8월의 어느날. 가수 비는 2005년 연말 선보인 4집 앨범 활동을 마치고 ‘정지훈’이란 본명으로 영화를 촬영 중이다. 그는 얼마 전 한 이동통신사 S사의 광고를 촬영하고 기념으로 휴대단말기를 선물 받았다. 이 단말기는 이동전화와 MP3플레이어, 5메가픽셀의 카메라는 기본이고 2005년 선풍적 ... ...
풍력, 제2의 벤처 바람 몰고 온다
과학동아
l
200502
바람기, 바람둥이, 바람나다. 모두 사람들에게 호감을 주는 말은 아니다. 그런데 최근 ‘바람나서’ 쾌재를 부르는 곳이 있다. 풍력발전기 제작 업체인 유니슨이 그 주인공. 지난달 12일 증권거래소 조사 결과 불과 며칠 새 주가가 71.7% 치솟으면서 보유 지분 가치가 수백억원이나 올라 자산이 무려 3 ... ...
3. 진화론 알아야 세상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02
진화의 개념은 최근 마케팅 전략에도 도입되고 있다. 신제품을 개발할 때는 철저한
시장조사
를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한다는 것은 상식적인 얘기다. 그러나 갈수록 제품수명이 짧아지고 소비자의 기호는 예측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런 환경에 지나치게 신중한 제품개발 ... ...
과학이 당신을 엿본다
과학동아
l
200502
국내 굴지의 기업 A사에 다니는 B모씨는 회사 메일을 열 때마다 마음이 불편하다. ‘혹시 누가 메일을 먼저 열어본 것은 아닌지’ 언제나 찝찝한 기분이다. 기업 비밀 유출을 막는다는 구실로 회사측이 개인 이메일을 열람하고 있다는 의혹이 몇년전부터 제기됐기 때문이다. 실제 A기업은 지난 2000 ... ...
태양흑점 주기 농작물 생산 좌지우지
과학동아
l
200412
태양흑점이 농작물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스라엘 하이파대 천체물리학자인 레브 푸스틸닉 교수와 농업경제학자인 그레고리 욤 딘 교수는 20세기 미국의 밀 가격이 태양흑점 주기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했다.이들은 과학기술이 발달해 농작물이 불리한 기후 조건에서도 더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11
거미줄에 걸린 파리가 몸을 바둥거리자 포식자 거미가 슬금슬금 다가가 침을 꽂고 액체를 주입한다. 이 액체에는 먹이를 꼼짝 못하게 만드는 강력한 마취 성분은 물론 내부 기관을 흐물흐물하게 녹여버리는 ‘소화제’ 가 들어 있다. 남은 일은 먹이를 ‘후루룩’ 빨아먹는 일뿐.인간보다 훨씬 전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11
지난 2001년 경기도 일산에 있는 산후조리원에서 영아들이 집단으로 설사에 시달렸다. 그 중 몇명은 불행히도 극심한 탈수 증세를 보이며 사망하고 말았다. 역학조사 결과 이들의 가검물에서 로타바이러스가 검출됐다.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된 어린이는 구토와 발열 증세가 나타나고 심한 설사를 한 ... ...
정보통신부 장관 진대제
과학동아
l
200410
‘미스터 칩’ ‘미스터 디지털’.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52)의 별명이다. 삼성전자 시절 세계 최초로 64메가 D램, 1백28메가 D램, 1기가 D램을 잇따라 개발해 컴퓨터의 기억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려 ‘반도체 신화’를 창조했다고 해서 붙여졌다.국내 최대 기업의 사장을 지내고, 현재 국가 행정부 ... ...
자동차 대중화 시대 연 포드 '모델 T'
과학동아
l
200410
1908년 10월 미 포드사는 새로운 자동차 모델을 선보였다. 10년 후인 1918년 이 모델은 미국 전체 자동차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명실공히 자동차의 대명사로 자리잡았다. 실로 엄청난 성공이었다. 그 주인공은 바로 ‘모델 T’.모델 T는 기존 자동차에 비해 성능과 디자인이 향상돼 대중들의 ... ...
“보라호, 말 탄 것처럼 흔들렸다”
과학동아
l
200410
올 여름은 유난히 흐리고 비가 많이 왔다. 6월 7일 장장 54개월에 걸친 보라호 개발 프로젝트가 일단락을 지었지만 시험비행은 한차례도 이뤄지지 못했다.6월 19일 한국항공대 황명신 교수(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와 은희봉 교수(항공운항학과)는 처음으로 보라호의 조종키를 잡았다. 10분간 시험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