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출
배설
분비물
배설물
걸러내기
스며나옴
d라이브러리
"
분비
"(으)로 총 1,27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여행 괴담 잡는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5
나비나 나방 날개를 잡았다가 눈을 비비면 실명한다?나비와 나방 날개는 ‘인분’이라는
분비
물로 덮여 있다. 언뜻 가루 같지만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마치 비늘 같은 얇은 판들이 겹쳐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인분이 눈에 직접 닿을 경우 아프거나 염증이 날 수 있지만 실명할 수준은 아니다.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3
다리를 가졌지.빈대와 벼룩은 피부 위를 재빠르게 움직이면서 마취 성분이 섞인 침을
분비
한 뒤에 주둥이를 찔러 아무도 모르게 피를 빨아 먹어. 이 침 성분이 가려움증이나 질병을 생기게 하는 거야. 어? 마침 저기 어린이 다리 위에서 피를 빨고 있네. 함께 만나러 가자! 납작한 빈대떡 모양 ... ...
지방세포 살빼기로 비만 탈출! 어린이 다이어트 백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2
친구들이 생각하는 예쁜 몸매는 어떤 것인가요? 어른처럼 늘씬한 키에 잘록한 허리, 갸름하다 못해 뾰족한 턱, 군살 하나 없이 기다란 다리… 인가요? 그런데 최근 몇 년간 어린이 비만이 꾸준히 늘고 있어요. 또 다이어트를 해 본 친구들도 열 명 중 예닐곱 명이나 된대요. 하지만 성장기 동안 잘못 ... ...
포경수술 좋다 vs 나쁘다
과학동아
l
201312
성행위를 끝내 버린다는 얘기다. 또한, 포피가 없는 남성과 성행위를 할 때 여성의 질
분비
물이 잘 나오지 않아 마찰 때문에 쾌감이 줄어든다.마지막으로 부작용이 있다. 포경수술의 부작용으로는 출혈과 감염이 있을 수 있으며, 포피를 너무 많이 잘라내서 성기가 매복하거나 휘는 수도 있다. 너무 ... ...
깨볶는 과학 마지막회 우유+여드름균=맛있는 치즈
과학동아
l
201312
가진 프로피오니 박테리아를 넣어요. 원래 이 균은 동물의 피부에 살고 있어요. 지방
분비
선이 막혀 있는 곳에서 울긋불긋 여드름을 만들지요.프로피오니 박테리아는 치즈의 젖산을 먹고 아세트산과 이산화탄소를 내뱉어요. 그래서 이것을 넣은 치즈는 버터처럼 부드러우면서도 톡 쏘는 맛이 나고, ...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
과학동아
l
201312
기면증 치료제로 이용하는 ‘모다피닐’은 도파민 세로토닌 히스타민 같은 각성물질이
분비
되도록 돕는 약물이다. 매일 약을 챙겨만 먹어도 졸리지 않은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신 원장은 “약물 치료를 받기 시작한 환자들은 하루하루 자기 평생 최고의 날들을 살고 있다고 한다”고 말했다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201311
입은 생명을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기능인 호흡을 담당하는 기관이며, 타액과 같은
분비
물을 내는 기관이기도 하다. 나아가 입을 이용해 새끼를 기를 수 있는 둥지를 만들거나 알을 더 잘 돌볼 수 있게 됐고, 교미하는 동안 상대방을 붙잡는 행동에 쓰는 등 좀 더 다양한 기능에 이용하기도 한다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
과학동아
l
201311
치료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보톡스도 이런 과정을 이용한다. 보톡스는 혐기성 세균이
분비
하는 신경독소인데 1.5kg 만으로도 인류 전체를 전멸시킬 정도로 치명적이다. 보톡스는 신경세포의 신호전달과정을 강력하게 억제해 근육을 마비시키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한다. 하지만 극소량을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11
건강에 이롭다. 키스를 하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의 농도가 낮아진다. 아드레날린
분비
는 늘어나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혈압이 높아져 심혈관계 건강에 좋다. 연인이나 부부가 키스를 자주 하면 관계만족도가 높아지고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진다는 연구도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솔로 생활을 ... ...
“고양이 따위 무섭지 않아!”
과학동아
l
201310
소변 냄새를 맡아도 피하지 않는다. 오히려 기생충은 뇌에 영향을 주는 단백질을
분비
해 고양이에게 잡아먹히도록 유도한다. 쥐에서 고양이로 숙주를 옮기기 위해서다.연구팀은 기생충을 제거해도 감염이 됐던 쥐가 여전히 고양이를 무서워하지 않는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고양이를 두려워하지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