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d라이브러리
"
몸
"(으)로 총 5,758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
과학동아
l
201705
어패류는 9종, 19마리에서 미세플라스틱을 발견했다. 특히 미국에서 구입한 어패류의
몸
속에서 발견된 미세플라스틱 중 80%는 미세섬유였다. 해양 생물의 미세플라스틱 섭취는 소화기관에 변형을 일으킨다. 먹이 활동을 방해해 성장을 더디게 하거나 죽게 만들기도 한다. 미세섬유의 경우 소화기관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5
비슷하게 땅을 파나간답니다. 머리 부분의 원형 강판이 암반을 갈아내면, 뒤의
몸
통 부분이 바위 조각들을 밖으로 빼내고 터널 벽면에 콘크리트 조각을 붙여나가죠. 이 덕분에 크기나 깊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긴 터널도 뚫어나갈 수 있답니다.★비밀 2 지하를 향해 돌진하는 거대 굴착기 ... ...
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5
확인하는 감각이 발달했답니다. 사람보다 100배 정도 뛰어난 후각이 대표적이지요.벌은
몸
에 물이 묻는 것을 막기 위해서 얇은 기름으로 덮여 있어요. 그래서 꽃잎 위에 앉으면 꽃에 이 기름이 살짝 묻게 돼요. 벌은 더듬이 끝 부분에 있는 예민한 후각수용체로 아주 적은 양의 물질도 냄새를 맡을 수 ... ...
[수학뉴스] 색깔 마술사 도마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705
라세타 도마뱀은 갈색 반점을
몸
에 지니고 태어나요. 생후 5개월이 되면 서서히 검정색과 초록색이 무늬를 만들어내지요. 최근 마이클 밀린코비치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교수팀은 쥬얼드 라세타가 세포자동차 원리로 무늬를 만든다고 네이처 4월 12일자에 발표했어요.연구팀은 쥬얼드 라세타 알을 ... ...
[가상인터뷰] 개코원숭이도 “아에이오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4
분석했어요. 기니개코원숭이는 꼬리 길이를 포함한
몸
길이가 100cm 내외로,
몸
무게가 40kg을 넘지 않아 개코원숭이 중에서 가장 작다고 알려져 있지요.연구팀은 기니개코원숭이 총 15마리의 구강과 울음 소리를 조사했답니다. 우리의 혀 모양과 근육을 분석한 결과, 모음을 발음할 때 필요한 혀 근육이 ... ...
[특별 인터뷰] 희귀질환 어린이들을 돕는 과학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4
추가 검사를 진행한 뒤,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답니다.●유전체 서열 분석 : 우리
몸
에 들어 있는 유전정보를 읽어내는 것. -RG코리아의 도움을 받는 건 수현이뿐인가요?최: 아니에요. 2017년 한 해 동안 수현이를 포함해 세 명의 어린이를 도와 주는 것이 목표예요. 수현이의 유전체 분석이 끝나는 대로 ... ...
[Issue] 음식과 약 사이 위험한 ‘케미’
과학동아
l
201704
주의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동일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먹는 약이라도 성분에 따라
몸
속에서 작용하는 원리가 다르다. 그래서 약물 성분마다 음식과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과 정도가 다르다. 하지만 약 성분마다 어떤 음식과 어떤 상호작용을 일으키는지 일일이 외우기란 쉽지 않다.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04
들어온 태아의 세포는 대부분 엄마의 면역 시스템에 의해 사라집니다. 그러나 엄마의
몸
속에 자리 잡아, 출산을 한 지 10년이 넘도록 남아 있는 세포도 있습니다. 이렇게 남아있는 태아 세포에 대해서는 학계의 의견이 분분합니다(doi:10.1002/bies.201500059). 엄마의 상처 치유 과정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도 ... ...
[Culture] ‘23아이덴티티’ 속 다중인격장애의 심리학
과학동아
l
201704
인격들끼리 머릿속에서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서로의 존재를 알고 있는데, 다른 인격이
몸
을 지배할 때 무슨 일을 했는지는 알지 못한다. 또 인격이 달라짐에 따라 제이드일 때는 당뇨를 앓기도 하고 비스트가 지배할 때는 무쇠처럼 신체가 단단해지기도 한다. 이게 과학적으로 가능한 걸까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704
최근에는 ‘신경음악치료’라는 새로운 음악치료법도 개발됐다. 음악을 듣는 사람은
몸
이 갖고 있는 리듬이 일시적으로 변한다. 음악을 들으면서 손가락을 까딱거리고 발로 박자를 맞추는 행위도 일어난다. 이를 ‘리듬동조화’ 현상이라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음악치료학자들은 음악을 특별히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