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쪽"(으)로 총 1,057건 검색되었습니다.
-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수학동아 l201110
- 어느 쪽에서 각도기를 대야 할까?이쑤시개가 동쪽으로 10°기울었다고 하자. 그러면 남쪽이나 북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는 0°다. 이와 같이 공간에서는 방향에 따라 기울어진 정도가 다르다. 그러니 이쑤시개가 얼마나 기울었는지 알려면 먼저 기울어진 방향을 찾아야 한다. 여기서 수학의 ‘정사영’ ... ...
- 중국을 넘어 세계로 가는 홍콩과기대과학동아 l201109
- 발코니 아래로 드넓은 홍콩 칭수이(淸水) 만의 바다가 펼쳐졌다.“북쪽에는 중국, 남쪽에는 호주, 북서쪽으로 쭉 가면 한국이 나옵니다. 우리는 세계 어느 곳을 향해서도 열려 있습니다. 그게 바로 홍콩, 우리 대학의 장점이죠.”발코니 위에서 시원한 바닷바람을 쐬던 챈 총장이 자신만만한 얼굴로 ... ...
-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전북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태풍도 폭우도 수학동아 MIE를 막을 순 없다!수학동아 l201109
- 군산대를 향해 출발했습니다. 서울은 하늘이 흐렸지만 비가 오지 않아, 태풍이 지나간 남쪽은 더 맑을 거라는 기대를 품고 갔어요. 그런데 경기도를 벗어나자 비가 오기 시작해 군산에 도착할 즈음에는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도착한 다음에도 비가 계속 왔어요.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원장인 유수창 ...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과학동아 l201109
- 모종삽으로 갯벌을 파헤친 지 10분이 채 지나지 않아서였다. 일본 4대 섬 가운데 가장 남쪽에 위치한 규슈. 이곳 서해안에 위치한 인구 13만 명의 도시 야츠시로 시의 갯벌에서 생태조사를 하던 중이었다. [헨미 야스히사 구마모토대 생명과학과 교수가 조사한 게들을 보여 주고 있다. 게 외에도 개맛, ... ...
- 슈퍼 장마 부르는 제트기류과학동아 l201108
- 만들어진다. 초속 25m의 속력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빠르게 진행하는 상층제트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북상하는 하층제트를 상공으로 빨아들인다. 그러면 하층제트를 타고 북상하던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고 건조한 상공으로 올라가 강한 대류를 일으킨다. 한 주무관은 “상하층제트가 만나면 어떤 ... ...
- 수학적 원리 알면 새 주소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108
- 적혀 있다면 동쪽이나 북쪽으로 가고 있다는 뜻이다. ‘100→1’로 적혀 있다면 서쪽이나 남쪽을 향하고 있다는 의미다.도로의 시작 지점부터 건물까지의 거리도 알 수 있다. 건물번호는 20m마다 숫자가 2씩 올라가므로 건물번호가 1씩 커질 때마다 도로 입구에서 약 10m씩 멀어지는 것으로 계산할 수 ...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과학동아 l201108
- 풍부하다. 물고기들이 겨울을 나거나 알을 낳기 위해 찾아오는 곳이기 때문이다. 한반도 남쪽에서 올라오는 쿠로시오 해류와 거기서 갈라진 대마 난류는 각각 동해와 서해로 흘러 들어간다. 이곳에서 살고 있는 표층어류(해수면 근처에서 사는 어류)는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들은 해류를 ... ...
- 북극 빙산으로 아프리카 갈증 푼다과학동아 l201107
- 있는 배는 파도에 전복당하기 직전이다. 급히 배를 멈추고 바람의 방향을 확인했다. “남쪽!” 조이스틱 버튼을 눌렀다. 배에서 돛이 펼쳐졌다. 배와 얼음이 바람의 힘을 타고 빠르게 태풍 지역을 벗어났다. 임무 완수! 심호흡을 하면서 머리에 쓴 특수디스플레이 안경을 벗었다. 눈앞의 바다 영상은 ... ...
- 삼각형으로 가득한 세상, 미션을 수행하라!수학동아 l201107
- 180°가 된다는 사실을 간단한 색종이 실험으로 확인해 보자. 지구의 어느 한 점에서 곰이 남쪽으로 이동하고 다시 서쪽으로 이동한 다음, 북쪽으로 이동했다.그런데 도착 지점이 처음 출발한 곳이다. 어떻게 된 걸까?이 문제를 풀려면 지구를 구라고 가정하고, 곰이 이동한 경로를 생각하면 된다. ... ...
- Part 3. 환경과 장묘문화가 만든 시간의 마법과학동아 l201106
- 쓰지 않기 때문에 밀폐가 온전히 이뤄지지 않는다. 습기가 많은 중국 창장(長江) 강 남쪽 지역에선 상대적으로 미라를 쉽게 찾을 수 없다. 중국 후베이성 징저우 박물관에서 만난 등췐 학예사는 “무덤이 발견돼도 관과 옷만 남아있고 시신은 뼛조각 하나 남지 않은 경우가 많다”며 “반대로 건조한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