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공
서문
본업
프로
스페셜
소식
소문
뉴스
"
전문
"(으)로 총 14,269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전·경남·전남 삼각별 프로젝트 가동…"우주기업 1000개 육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2024년까지 우주산업 분야 규모를 100조원으로 만들고 우주기업 1000개를 육성하며
전문
인력 2만명을 양성하는 것이 목표다. 먼저 우주산업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올해 '우주산업 클러스터 삼각 체제 구축사업'을 시행하고 4000억원 규모의 우주발사체 국가 산업단지를 신규 조성한다. 지난해 ... ...
"아동기에 약시 겪으면 성인기에 대사 질환 나타날 수도"
연합뉴스
l
2024.03.13
발생한다는 의미는 절대 아니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의학
전문
지 '랜싯'(Lancet)의 자매지 'e임상의학'(eClinical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
"의대 증원 앞서 행위 아닌 ‘가치’ 기반 의료체계 갖춰야"
2024.03.13
빠졌다고 지적했다.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수련 비용 지원 시에는 인건비에 지도
전문
의 등에 대한 수당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도 냈다. 홍윤철 서울대 의대 교수는 ‘필수의료 해결방안’을 주제로 통계청의 국내 인구 추계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외래·입원 수요량, 의사인력 공급 현황 ... ...
박민수 차관 "개원·미용 쏠림, 정부도 책임…필수의료 저수가 개선할 것"
2024.03.13
완화한다는 계획이다. 전공의 연속 근무 축소, 임상 역량 중심 수련 체계 개편,
전문
의 중심 병원 등의 운영 모델을 고착화해 전공의의 열악한 근무 여건과 전공의 의존도도 줄여나가겠다고 덧붙였다 ... ...
의료폐기물 소각장 안보내고 병원서 직접 처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동물병원 등에서 배출되는 의료폐기물은 전용 소각장에서 처리해야 한다. 병원은
전문
업체를 이용해 의료폐기물을 가장 가까운 전용 소각장으로 이동시켜 처리해야 해 어려움이 많았다. 심지어 전국에 전용 소각시설은 13곳뿐이다. 특히 제주도 같은 섬은 내부에 의료폐기물 소각장이 없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비 511배 증가에 의사수 7배 늘어?…통계의 함정
2024.03.13
무작정 수련병원으로 전환할 수도 없다. 보건복지부가 내놓은 '종합병원의
전문
의 중심 운영'을 위해서는 의대의 입학정원의 증원이 아니라 오히려 큰 폭으로 줄여야만 하는 형편이다. 의대 쏠림이 심각한 상황에서는 이공계 교육도 위험할 정도로 흔들리게 된다. 신입생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다. ... ...
[정치에 도전한 과학자들] ③정우성 "이공계 처우, 20년 간 바뀐 것 없어"
과학동아
l
2024.03.13
맡곤 합니다. 그런데 2023년 7월 제게 위원장 제안이 왔습니다. 정치 감각보다는 정책
전문
성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었죠. '플레이어'가 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이후 공약개발본부를 거치며 그동안 제안해 왔던 것들을 직접 실행에 옮겨보겠다고 결심해 이번 총선에 출마하게 됐습니다." ... ...
공학한림원 일진상 김용화·박진호, 해동상 이용훈·박건형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일깨우는 데 앞장섰고, 사회에 문제를 제기하는 기획 보도 시리즈와 과학기술
전문
섹션 창간을 주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공과대학(원)생 대상으로 하는 제2회 원익상 수상자도 함께 발표됐다. 원익상은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공학도를 발굴해 사회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 ...
꽃 피우는 식물, 개미 멸종 막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속씨식물이 제공하는 먹이를 활용하며 다양성을 확보한 것으로 분석됐다. 원시 개미는
전문
화된 습성 때문에 오히려 멸종을 피하기 어려웠다는 결론이다. 연구팀은 "속씨식물이 개미의 종 다양화를 촉진하고 멸종을 막는 완충 작용을 했다"며 "속씨식물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개미가 존재하지 ... ...
고형암 세포치료제 미국서 첫 치료 개시…CAR-T 치료제 한계 넘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3.12
유발할 수 있다. TIL이 어떤 항원을 목표로 하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점도 위험요소다.
전문
가들은 이같은 특성이 중요하지는 않지만 특정한 환자에게는 위험하게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 제약업계에선 암타그비처럼 TIL을 활용한 세포치료제 개발 움직임이 활발하다. 최근 자궁경부암과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