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백
정당함
타당성
정확
정밀도
d라이브러리
"
확실
"(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 국방네트워크에 침입한 컴퓨터바이러스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양쪽의 심문을 받고 있다.그러나 모리스의 행위가 컴퓨터범죄의 일종인지에 대해선 아직
확실
치 않다. 컴퓨터 보안전문가들은 누구도 모리스카 범한 행위에 대해 명확히 정의내리지 못하고 있다.그의 아버지는 현재 정부의 국가컴퓨터보안센터 책임자로 근무하고 있다. 주업무내용은 아파네트를 ... ...
고장난 핵추진 인공위성의 위험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직전에 타버렸기 때문에 추락했을때 농축 우라늄연료가 남아 있었는지 어떤지는
확실
치 않으나 지구주변 궤도를 선회한 약 5개월 동안 농축우라늄 연료로부터 방출되는 중성자에 조사되었기 때문에 추락잔해에 방사능을 띠고 있었음이 분명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계속된 검사에서 별다른 것을 ... ...
예술의 경지에 이른 현대의 도청기술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그 가족들의 혈액을 검사한 결과 비정상적인 백혈구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왜 그랬는지
확실
한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으나 도청전파와 도청을 방해하려는 전파 사이의 피해가 아닌가 하는 추측도 있다.워싱턴 내에 소련대사관의 위치를 놓고도 도청에 관련된 여러가지 이야기가 있다. 워싱턴의 새 ... ...
감마선의 수수께끼, 물리학계 긴장시켜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원자가 충돌, 발생한다는 것.가슴이 두근거렸지만 그들은 발표를 서둘지 않았다. 좀더
확실
한 증거를 찾아내기 위해 1년이상 발표를 유보했던 것.마침내 그들은 자신들의 관찰을 뒷받침해 줄 3가지 가능성을 제시했다. 첫째 높은 에너지 상태의 감마선이 마치 물질처럼 작용할지도 모른다고 ... ...
아르헨티나의 인류학자들 이빨의 유전정보로 100% 신원확인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주인공을 확인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그러나 최근에 개발된 유전정보 비교만큼
확실
한것은 없다.이들 그룹 가운데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에서 공부한 칠레출신의 '크리스티안오레고'가 개발한 유전정보 비교법은 이방면에서 혁명적인것으로 불리워지고 있다. 유전정보 비교법은 ... ...
실용화에 따른 과학적 윤리 규명 시급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들은 "원적외선에 대한 원리규명이 아직도 과학적으로
확실
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그러나 그 효과만큼은 여러 방면에서 구체적인 데이타로 검증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다각적이고 심도있는 연구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발표가 끝난 후 ... ...
전자·컴퓨터 지식산업이 세계 지배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최강국"이라고 썼다. 피가로잡지는 또 이런 관점에서 현재에도 가장 앞서있고 21세기초에
확실
하게 최강국으로 올라설 나라는 일본이라고 전망했다.이 잡지는 고르바쵸프의 개방·개혁정책의 배경에는 일본을 의식, 미·소의 낭비적인 군비경쟁이 앞으로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지에 대한 우려가 ... ...
유전공학 뜻밖의 재난가져올지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위험이 따른다 할지라도 인류가 얻을 수 있는 이익과 비교할 때, 그 위험성은 상당히 불
확실
한 것이기 때문에 결코 생명공학에 대한 연구는 포기되어질 수 없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비록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한 생물적 위험이 현상태에서는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안전하다 할지라도 이에 대한 ... ...
계획대로 된다면 1995년에 과학위성 발사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선진국의 심볼마크의 하나인 위성발사, 우리의 계획은 지금 어떻게 돼가고 있나? 자세한 내막을 알아본다."과학위성을 쏘아올리자."우리나라도 이제는 더 이상 우주 ... 진입할 수 있다. 우주산업이야마라로 해양개발이나 고속전철보다도 그 효과가 더욱
확실
한 분야"라고 강조하고 있다 ... ...
우리몸을 방어하는 장기 편도선, 수술하면 오히려 큰 손해볼수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등 여러가지 주장이 있는데 이처럼 많은 학설이 있다는 것은 아직 편도선의 모든 기능을
확실
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도 할 수 있다. 하는 일이 무엇인지 잘 알지도 못하면서 편도선을 수술로 떼내 버려도 괜찮은가 하고 걱정하는 학자도 있을 정도이다.그러나 결론부터 말하면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