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1년 흰 소의 해] 스마트 헬‘소’케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예측할 수 있다. 2021 복지 ‘소’사이어티축사도 변하고 있다. 가축을 기르는 데 필요한 기술과 노동력을 정보통신기술(ICT)과 로봇 기술로 대체한 스마트 축사가 늘고 있다. 자동화 시스템으로 소를 품에 두지 않아도 훨씬 효율적으로 소를 관리할 수 있다는 뜻이다. 소가 외양간을 뛰쳐나갈 걱정도, ... ...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하는 방사성동위원소 열전기 발전기(RTG)로 전력을 얻는다. 현재 10개의 관측장비 중 불필요한 관측장비를 멈추고, 보온 장치를 끄는 등 전력을 최대한 아끼고 있지만 최대 2025년을 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박 연구원은 “1년에 두 번 열리는 보이저 임무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모임을 가면 ... ...
- 태양계 비밀 품은 50억km의 비행, 하야부사2의 귀환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알고 보니 포유류였듯이, 겉만 보고는 제대로 알 수 없는 법. 직접 뜯어볼 수 있는 탐사가 필요하다. C형 소행성 탐사, 이건 못 참지더군다나 수많은 소행성 중에서도 C형은 특별하다. 이름(Carbonaceous asteroid·탄소질 소행성)처럼 탄소질이 풍부한 덕분이다. 하야부사의 국제과학팀으로 활동하고 ... ...
- 작은 ‘탈 것’을 위한 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교수는 “공중을 비행하는 건 땅이나 물 위를 달리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초소형항공기의 경우 앞뒤로 움직이는 추력에 더해 중력을 이겨낼 수 있는 양력도 만들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배터리를 이용해서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 ...
- 창원대, 제조혁신 주역 ‘스마트산단’의 스페셜리스트 꿈꾼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공정마다 투입되는 사람은 줄지만,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인력이 대거 필요해지면서 오히려 일자리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실제로 스마트공장 현장에서는 맞춤 인력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응하고자 2018년 말 정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제조 인력 10만 명을 양성하겠다는 ... ...
- '궁극의 질문'을 함께 풀어봐요!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있다. 해결의 길잡이①과 ② 증명 모두 함수의 수렴이나 극한과 관련된 섬세한 계산이 필요하다. 삼각형은 높이가 0이 될 수 없으므로, 아무리 많은 삼각형을 만들어도 ①의 명제가 성립할 수 없다. 이처럼 무한의 개념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 Q. 수학질문│정수 집합에서 ... ...
- [특집] 결정장애야 물러가라! 추천 AI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1호
- 화장지나 물 등의 생필품이 떨어지기 전에 미리 주문해주고, 시기에 맞춰 사용자에게 필요한 물품을 추천해주는 쇼핑 추천 AI도 있어. 또 중고 물품을 거래하는 앱은 사용자가 사는 지역 내에서 거래할 수 있고 사용자 취향에 딱 맞는 중고 물건을 AI로 추천해주지. 추천 AI 서비스의 비밀은 알고리듬 ...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인공지능으로 얼굴 속 황금비율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기준을 ‘모델’이라고 해요. 이런 모델을 세우려면 학습용 데이터인 ‘데이터셋’이 필요해요. 예를 들면, 다양하게 변하는 한 사람의 얼굴이 데이터셋이지요. 교육용 코딩프로그램 ‘엔트리’에도 사람 얼굴을 인식하는 모델이 있어요. 인공지능 블록을 활용하면 웹캠에 찍히는 사람이 남자인지 ... ...
- DBTI로 내 동물 부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성향이 커요. 야생에서의 생태를 이해해야 동물원에 사는 동물이 행복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알 수 있어요. 동물이 본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해주는 게 행복의 첫 번째 조건이거든요. 그래서 마승애 수의사와 함께 한국 동물원에 흔히 보이는 동물 10종의 생태를 담아 DBTI(Dongmul Bukae Type Indicator, 동물 ... ...
- [과학뉴스] CERN의 앨리스 검출기 센서 국내 연구진이 양산 시험 성공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현상들을 정밀 관측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자료 수집 능력을 갖는 고해상도 센서가 필요하다. 기존에 앨리스 실험에 쓰였던 실리콘 센서는 해상도가 낮아 특히 무거운 쿼크가 붕괴하는 지점을 잘 포착할 수 없었다.알피드는 기존 센서보다 10배 높은 분해능과 100배의 자료 수집 능력을 갖추고 있다.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