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저장한다. 그 덕에 이 작은 식량저장고는 현재 세계 식량의 60%를 담당하고 있다.최초로 인간을 길들인 꽃식물은 벼다. 정확하지 않지만 1만 년 전쯤부터 중국, 중동 등지에서 농경이 시작됐다. 벼는 오늘날 세계 곡물 생산량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간들이 다양한 품종을 개발한 덕분에 지난 3 ... ...
- [Knowledge] 질병은 적인가 동지인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그렇게 독했던 걸까?원인은 전쟁이었다. 유럽을 넘어서 전 세계적으로 벌어진 최초의 전쟁인 제1차 세계대전은 유례없는 전염병 대유행을 만들어냈다(과학동아 2014년 2월호 특집 ‘인류는 전쟁을 멈출 수 있을까?’ 참조). 유럽 참전국을 위해 인도의 곡물이 징발되면서 인도에는 식량 부족 현상이 ... ...
- [생활] 생생한 화질 경쟁, 수학으로 앞서 간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정보를 확인하는 의료영상장치인 자기공명저항률단층촬영장치(MREIT)를 지난 2008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MRI는 강력한 자기장을 만들어서 몸속에 있는 수소 분자의 반응과 분포를 통해 질병 정보를 파악한다. 반면 MREIT는 인체에 전류를 흘려 줄 때 생기는 자기장을 측정해서 세포의 전기 전도율 ... ...
- [생활] 아르키메데스가 지수 표기법을 알았더라면?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지수 표기법이 없어 계산은 매우 복잡했다. 오늘날 쓰이는 편리한 지수 표기법은 누가 최초로 사용했을까?모래알로 우주를 가득 채우려면 얼마나 많은 모래알이 필요할까?아르키메데스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먼저 매우 큰 수를 어떻게 불러야 할지 정해야 했다. 고대 그리스 당시에는 큰 ... ...
- Part 3. 잡음없이 깨끗한 중력파를 발견하라!과학동아 l2014년 04호
- 한 가지 방법을 생각해냈다. 우리가 볼 수 있는 최초의 빛, 즉 빅뱅 38만 년 이후의 첫 우주배경복사에서 그 전의 흔적을 찾을 수 없을까. 그것이 바로 급팽창 과정에서 나온 중력파였다. 우주배경복사에는 중력파의 흔적인 B-모드가 남아 있을 수 있었다. 슬슬 어려워진다. 이것들을 이해하려면 먼저 ...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진화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번 논문에서는 이끼류로부터 고사리류, 겉씨식물을 거쳐 최초의 꽃식물인 암보렐라 조상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두 번의 전체 유전체중복 현상이 있었다는 것을 밝혔는데, 아마도 이것이 꽃식물의 폭발적 진화를 이끄는 원동력이었을 것이다. 또한 ... ...
- Part 2. 은하와 생명의 진정한 기원 드러나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것이 바로 급팽창이론이다. 빅뱅 후에 굉장히 짧은 시간 동안 우주가 엄청나게 커졌다면 최초의 우주에 대해서 다 똑같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 설명된다. “강릉에 같이 있던 두 전령이 정보를 공유하고 ‘별에서 온 그대’의 도민준처럼 각각 평양과 전주로 공간이동을 한 후에(즉 급팽창을 한 ... ...
- 나무 아파트, 몇 층까지 지어봤니?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대개 10층부터 고층으로 부르고 30층부터는 초고층으로 부르는 만큼 슈타트하우스는 세계 최초의 목조 고층빌딩으로 인정받았다. 국제초고층학회는 2010년 슈타트하우스를 ‘올해의 고층빌딩’ 중 하나로 선정했는데, 재밌게도 슈타트하우스는 그간 국제초고층학회가 선정한 ‘올해의 고층빌딩’ ... ...
- 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주축으로 2006년부터 매년 여름 40여 일씩 5차례에 걸쳐 진행했다. 한국이 주관하는 최초의 국제공룡탐사이기도 하다. 발굴한 모든 화석들을 화성시 공룡알 화석지 방문자센터의 실험실에서 처리 작업하고 있다. 이번 탐사를 지원해준 화성시에 감사의 뜻을 전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줄기세포 혁명? 또 한 번의 악몽?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밝혀졌다. 지난해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교수가 세계 최초로 인간의 복제배아줄기세포를 만들었다. 분화가 잘 되고 면역거부반응이 없지만, 난자를 이용해 생명윤리 문제가 있고 암이 발생할 위험도 크다.최근 가장 각광받는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체세포에 4가지 외부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