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2. 자동통역 시스템 실현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안심하고 향후 자동 문서 입력 시스템으로의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
한다. 음성인식사람이 자신의 의사를 가장 편안하게 전달하는 매체는 말, 즉 음성이다. 그러나 음성은 사람과 사람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었지 사람과 기계 사이의 그것은 아니다. 음성인식이란 바로 이 일을 ... ...
이곳만은 지키자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제작 툴이 가진 문제와 함께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사용자들의
지적
을 최대한 수용한 업그레이드 판이 내년 초 나올 예정이니 기대해달라"고 부탁했다.'이 곳만은 지키자' CD-ROM은 4MB 이상의 메인 메모리에 사운드 카드, 256컬러 이상의 VGA카드에서 작동하며 한글 윈도우 3.1 ... ...
2. 역대 수상자 집중분석 나라·성별 명세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노벨상이 과학자들간에 불필요한 경쟁을 부추기고 갈등을 낳는다는 점에서 그 폐해를
지적
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연구란 직물과 같은 것으로 여러가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어느 것을 평가하느냐는 무척 어려운 일이다. 노벨상은 일부분만을 평가할 뿐이며 엉뚱한 착오를 저지르기도 한다. ... ...
PART.2 PC통신 서비스, 화상·음성기술개발 시급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것이라고 확정된 것은 없다"며 그 이유로 기술적 문제와 사용자, 정보제공자(IP)의 여건을
지적
했다.한편 전문가들은 PC통신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실시하는데 안고 있는 문제가 해결되기 전단계까지 활용할 수 있는 대안으로 미국의 컴퓨서브 등이 제공하는 CD롬을 제시한다. '컴퓨서브 CD'란 의미의 ... ...
1. '도전-실패' 되풀이 개발역사 50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처리속도는 컴퓨터의 연산장치보다 훨씬 느림에도 불구하고 그 복합체인 두뇌는 인
지적
처리 패턴인식 언어처리 등의 복잡한 일을 컴퓨터보다 훨씬 빠르게 잘 처리한다. 단순한 처리 능력의 느린 신경세포들로 구성된 인간의 뇌가 복잡한 일을 컴퓨터보다 빨리 처리할 수 있는 것은 강력한 병렬성 ... ...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학자들 역주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노벨상을 타자는 이야기가 아니라 학문의 발전을 위해서 연구자들이 취해야 할 태도를
지적
하는 것이다.노벨상과 관련해 아주대 석좌교수인 정근모박사의 '3세대론'은 나름대로 설득력을 가진다. 모름지기 한 나라의 과학기술계가 국제적으로 평가받을 만한 우수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3세대가 ... ...
PART.3 CD-롬 타이들, 양보다 질 높이는데 주력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수준 낮은 제품들이 대부분. 이젠 양적 팽창보다는 질을 높이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지적
이 설득력있게 제기되고 있다.지난해까지만 해도 컴퓨터 매니아들의 사치품 정도로 인식되던 CD-ROM 드라이브가 올해 안으로 보급대수 30만대를 넘어설 전망인 가운데 그 소프트웨어인 CD-ROM 타이틀 시장도 함께 ... ...
고래가 바다로 되돌아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결론지었다. 이 고래 화석은 중간 단계로 인정되었고 연구는 계속됐다.굴드 박사가
지적
했듯 운동 문제가 기능상의 중간 고리를 결정하는 가장 핵심이라면, 테비센 박사의 암불로세투스는 초기 고래 진화에 있어 그토록 오랫동안 찾아 헤매던 돌파구에 가장 가까울 것이다. 그것의 발가락은 초기 ... ...
대구·대전, 서울보다 광공해 심하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심한 것으로 드러난 이유 중의 하나는 관측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부실했기 때문이라는
지적
도 있었다.분석팀이 선정한 이번 촬영의 대상은 울산팀. 이 팀은 서동철군을 단장으로 부산 동아대가 주축으로 연고가 전혀 없는 울산지역에 침투해(?) 훌륭히 관측을 마쳤다. 장소 선정을 위한 답사를 ... ...
수학의 난제 π값 계산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증명한 것은 1881년 린덴만(C.L.F. Lindenmann)이었다. 하지만 성경도 그렇거니와 인간의
지적
호기심은 끊임없이 π값을 찾았다. 원주율의 값에 관한 정밀도가 당시 수학의 수준을 상징한다.중국의 조충지(組沖之, 430-501)는 π=3.1415926으로 구하고 소수점 아래 8자리까지 정확히 구했다. 또한 근사값으로는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