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이"(으)로 총 2,6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연의 색을 돌려 줘!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20호
- 이 과정에서 아세톤에 녹아 있는 시금치의 색소 분자들이 네 가지 색소로 나뉩니다. 종이의 위에서부터 카로틴(황적색), 크산틴(황색), 엽록소a(황록색), 엽록소b(청록색)의 순서로 분리되죠. 자연과 가까운 곳에 사는 이번 과학해결사 친구들은 소목과 양파껍질, 쑥 등의 재료를 이용해서 손수건을 ... ...
- 우리 엄마, 누나, 언니도 발명가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20호
- 운전사를 보고 와이퍼를 발명해 낸 것이죠. 이외에도 접시 닦는 기계, 일회용 기저귀, 종이 접시, 주름빨대, 미끌어지지 않는 양말, 구명조끼, 잠수함 망원경에 이르기까지 우리 주변에는 여성발명가들이 개발한 발명품이 가득합니다. 잘 알려지지 않거나 때로는 남성 발명가들에 가려지기도 하지만 ... ...
- 우리 문화재를 지킬 피리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9호
- 다르게 비스듬히 자른 후 막대를 종이컵 뒷면 중앙에 글루건으로 붙입니다.④ 두 손으로 종이컵 입구를 감싸고 소리를 내 보고 목소리를 관찰해 보세요. 선생님이들려주는목소리분리이야기어때요? 관찰해 보니 많은 플라스틱 선 중 하나의 플라스틱 선만 떨리는 것이 보이나요? 소리가 나면 공기가 ... ...
- 무인도 탈출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8호
- 단순한 과학 원리를 이용해서 불을 피울 수 있다. 누구나 한 번쯤은 돋보기를 이용해서 종이에 불을 피워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볼록렌즈는 빛을 한 곳으로 모으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볼록렌즈로 만들어진 돋보기나 카메라 렌즈를 이용하면 쉽게 불을 피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투명한 ... ...
- 쓰러진 트로이목마를 일으켜 세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7호
- 테이프1. 오뚝이 눈사람처럼 종이컵 안쪽에 건전지를 붙였어.2. 다음은 트로이목마를 종이컵 위에 단단히 붙여 놓았지. 이 때 주의할 점은 건전지를 붙인 방향과 반대쪽에 목마를 붙여야 한다는 거야. 트로이목마 오뚝이 완성!실제로 트로이목마를 세울 수 있을까?모형 트로이목마 세우기 성공! 그럼 ... ...
- 전자석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6호
- 흠집에 생겨 전류가 흐르면 누전에 의해 자기장이 안 생길 수 있으므로 쇠못을 종이로 감싸 주는 게 좋다.? 자기장이 센 전자석을 만들려면? ■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전자석전자석은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어서 우리생활에 유용하게 쓰인다. 특히 전자석의 힘을 ... ...
- 반가워, 서울숲의 친구들아!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5호
- 가치 외에도 우리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 주고 다양한 즐거움을 준답니다. 숲의 나무들은 종이가 되고 숲이 없어진 자리엔 도시가 생겨나지만 숲은 이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걸 친구들은 잘 알게 될 거예요.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부터 몸집이 큰 동물까지 먹이가 되고 보금자리가 되어 ... ...
- 무지개 소녀의 아주 특별한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5호
- 거울을 45도 각도로 설치한다.2. 물 속의 거울을 향해 손전등을 비추면 반사된 빛이 흰 종이 위에 비치면서 무지개가 나타난다. 설탕물로 만든 달콤한 무지개탑과학원리 뛰어넘기시험관의 그림물감이 서로 섞이지 않는 이유는 바로 용액의 밀도 때문이다. 설탕을 가장 많이 넣은 보라색 용액은 ... ...
- 마법학교 비밀 편지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4호
- 비밀 편지를 파오나 선생님께 전해 주는 일은 밍아가 맡기로 했어. 그런데 마법 빗자루 조종이 서툰 탓일까? 그만 손에 있던 편지를 스미슨 선생님에게 떨어뜨리고 만거야! 앞으로 과연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우리 친구들 상상에 맡길게.우리 학교는 과학동산창의적 교육으로 앞서 ... ...
- Sea, Waves, Continental Shelf, Creature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13호
- 1300여 종에 지나지 않으나 과학자들은 심해에 살고 있는 생물의 종류가 무려 1천만 종이 넘는다고 예상하고 있다. 사실 사람이 탐색한 심해는 전체 면적의 1%도 되지 않기 때문에 가장 덩치가 큰 고래보다 훨씬 거대한 해양 생물이 살고 있을 지도 모를 일이다.빛이 없고 온도가 낮으며 압력이 강한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