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돔을 접하게 해 주고 싶었던 학생들은 좀 더 저렴한 빨대를 쓰기로 했다. 크기도 확 줄여 일반 빨대 하나를 둘로 잘라 손수 키트 250개를 만들었다. 이를 위해 동아리 부원 7명이서 18,000개 정도의 빨대를 직접 잘라야 했다.“사람들이 지오데식 돔을 구경할 뿐만 아니라, 직접 작은 모형으로 만들어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컴퓨터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트루노스’를 개발해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일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1cm2당 전력소모량이 전구를 켜는 수준인 50~100W인 데 비해 트루노스는 블루투스 송수신기 두 개를 작동시키는 수준인 20mW다. 연구팀은 이 칩으로 사람과 자동차 등의 물체를 실시간으로 ... ...
- FDA 트랜스지방에 사형 선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전면 퇴출시키기로 결정했다. FDA는 인공 트랜스지방의 주요 성분인 부분경화유(PHO)를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식품’에서 제외한다고 6월 16일 밝혔다.인공 트랜스지방은 식물성 불포화지방에 수소를 넣어 포화지방으로 형태를 바꾼 것으로 음식의 식감을 촉촉하게 하고 단맛과 고소한 ... ...
- [교과연계수업] 긁적긁적, 환절기에 피부가 더 가려운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가려움을 일으키는 걸까요? 한두 가지만으로는 가려움의 원인을 설명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우리 몸에서 나오는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이 가려움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어요. 히스타민은 외부의 자극이 가해졌을 때 우리 몸을 방어하기 위해 분비되는 물질이에요. 피부 진피층에 있는 ... ...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오이와 비교했다. 그 결과 인공번개를 맞은 온실에서 자란 오이는 크기나 색깔, 맛은 일반 오이와 똑같았지만, 열매를 약 16%나 더 많이 맺었다. 연구팀은 번개 한 방이 칠 때마다 햇빛을 일주일 동안 받는 것과 맞먹는 에너지를 잎이 축적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리고 농사에 활용하면 흐린 날이 ...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가려움을 일으키는 걸까요? 한두 가지만으로는 가려움의 원인을 설명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우리 몸에서 나오는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이 가려움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어요. 히스타민은 외부의 자극이 가해졌을 때 우리 몸을 방어하기 위해 분비되는 물질이에요. 피부 진피층에 있는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문제가 있었다. 특히 ‘과적응 문제’가 연구자들의 발목을 잡았다. 훈련 데이터로부터 일반적인 패턴을 알아내야 하는데, 데이터가 적다 보니 입력된 데이터를 통째로 외워버렸던 것이다. 이런 경우 학습이 끝나더라도 훈련 데이터만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을 뿐 실 사용 데이터를 넣어주면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않은 비관성계에까지 확장시켰다. 중력에 관한 새로운 해석을 제기했던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 연구는 맥스웰의 전자기 이론과 고전역학 사이의 모순을 해결하려던 특수상대성이론으로부터 시작됐다. 아인슈타인은 코일과 자석을 움직여 코일에 유도 전류를 흐르게 하는 간단한 실험을 ... ...
- 존 내쉬, 영화처럼 잠들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영향력이 더 큰 셈이다.현대 게임이론은 존 폰 노이만의 연구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는 게 일반적이다. 폰 노이만만큼 많은 분야에 최고 수준의 업적을 남긴 사람은 정말 흔치 않다. 순수수학에서부터 수치해석, 양자역학 등에 방대한 영향을 끼친 이 사람은, 최초의 원자폭탄을 만들어낸 맨하탄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했다. 전문가 시스템은 인간이 특정분야에 대해 가진 전문적인 지식을 컴퓨터에 이식해, 일반인도 이 전문지식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인공지능이다. 1960년대 화합물의 구조를 추정하는 ‘덴드럴’ 시스템이 시초다. 잘 알려진 전문가 시스템으로는 1970년대 미국 스탠포드대에서 개발한 백혈병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