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언어의 고향은 아프리카?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자체적으로 말을 만들었기 때문”이라며 “아프리카로부터 먼 거리를 이동해 정착한
인류
일수록 유전적 다양성이 줄어든다는 생물학 용어인 ‘창시자 효과’가 언어에도적용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4월 15일자에 게재됐다 ... ...
인류
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사이의 조상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현생
인류
의 3분의 1 수준인 420cm3에 불과한데도 다른 오스트랄로피테쿠스류보다 현생
인류
에 가까운 신체 특징이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는 두뇌 크기와 신체적 특징(예를 들면 직립보행)이 함께 변화했다는 기존 주장을 뒤집을 수 있기 때문이다.이에 대해 윌 아르농쿠르-스미스 ... ...
왜 1+1=2인가?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말하자면 우리가 사용하는 자연수가 그렇게 생겼기 때문입니다.자연수는 아주 오래전에
인류
가 처음으로사용한 수입니다. 언젠가부터 너무나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어‘자연수는 이러이러한 수다’라고 말하는 것 자체가 오히려 어색하죠. 그래도 수학은 논리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 ...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따라서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를 ‘경제성 있게’ 활용하는 방법을 찾으면
인류
는 에너지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다.석유 수준에 다가가는 경제성“지난해 세계 최초로 6세대 다결정 실리콘 잉곳을 양산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5월 상용화될 예정인데 실리콘 웨이퍼의 ... ...
Part 3. 원전과 오토바이, 뭐가 더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재앙을 겪은 팬데믹(대유행병)이 다시 유행한다면 해당 지역주민은 두려움에 떨 것이다.
인류
는 중세 때 유럽인구의 3분의 1이 흑사병의 제물이 됐고, 1918~1919년 1차 대전 때 스페인에서 시작된 독감이 수천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역사적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이 때문에 2008년 신종플루 유행 때 새로운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위치한 간헐천은 현재 600MW 이상의 전기를 생산한다.하지만 갑작스러운 화산폭발은
인류
에게 재난이다. 지난 500년 동안 화산 분화로 약 25만 명이 죽었다. 현재 기술로 화산 분화는 막을수는 없지만 위험한 화산을 식별하고 잠재적으로 재해를 피할 수는 있다. 과학자들은 화산이 분화하기 전에 ... ...
금혜원 사진전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때문이다.쓰레기는 왜 감춰져야 할까. 더럽기 때문이다. 하지만 더러움이란 무엇일까.
인류
학자 메리 더글러스는 사람들이 어떤 것을 불결하다고 여기는지 연구했다. 예를 들어 성서의 ‘레위기’는 동물을 정결한 것과 부정한 것으로 나누고, 부정한 동물은 먹지 못하도록 규제한다. 또 다른 예로, ... ...
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할 가장 큰 과제는 무엇일까요?김 18세기 산업혁명을 시작으로 비약적으로 발전한
인류
는 반대급부로 환경오염, 에너지위기 같은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제 화학은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에 주안점을 두고 환경과 에너지 분야에서 많은 연구를 해야 합니다. 대한화학회는 ‘화학이 지구를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전자기장의 역학적 이론’에 집대성했다. 이 책은 뉴턴의 ‘프린키피아’를 잇는
인류
의 위대한 지적 성취다. 맥스웰이 죽은 지 8년이 지난 뒤 독일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가 마침내 맥스웰의 주장대로 빛이 전자기파라는 사실을 실험으로 증명했다.1865년 맥스웰은 고향 스코틀랜드로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복잡한 구조로 이어 만든 다음에야 얻은 결과다. [제임스 카메론의 영화 아바타에서
인류
는 행성 판도라의 희귀 금속을 채굴하기 위해 나비 족과 싸움을 벌인다. 극중이 금속은 상온초전도체로 설정돼 있다. 거대한 땅이 공중에 떠 있는 신비로운 지형도 이 금속이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공중에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