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서
상하
d라이브러리
"
위아래
"(으)로 총 3,36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2008년 여름 한국 사회를 뜨겁게 달궜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 시위. 넘쳐나는 정보와 엇갈리는 주장에 혼란스러워했던 대중들은 무엇보다도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판단의 기준을 원했으리라. 그러나 그 판단의 기준으로 삼고자 하는 최소한의 과학지식마저도 여전히 미완이며 불확 ... ...
신 세계 7대 자연경관 후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용암 뾰루지 대마왕 | 제주도마그마가 분출되면서 생성된 제주도를위에서 본 사진. 가운데에 솟아 있는지형이 한라산이고 그 주변에 370여 개의기생화산이 널려 있다. 옛날 옛적~ 한라산을 베고 누우면 제주도 앞바다에 발이 닿을 정도로 키가 큰 설문대할망이 살았다. 그는 붙어 있던 하늘과 땅 ...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큰그림 보러가기‘못 가겠네 못 가겠네놋잎 같은 갈치 뱃살 두고나는 시집 못 가겠네’과거 섬지방 처녀들이 명절 때 부르던 강강술래 매김 소리 중 한 부분이다. 처녀가 시집이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가장 생각난다고 할 만큼 갈치 뱃살은 맛이 있다. 갈치의 참맛은 가운데 토막이라고 하는 이유도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여기는 17세기 조선시대 과거 시험장. 딩~ 하는 징소리와 함께 문제가 발표됐다.시험장에 모인 선비들은 한지 위에 문제를 단숨에 써 내려갔다. ‘六千七百八十九(육천 칠백 팔십 구), 三千四百五十(삼천 사백 오십)’. 이어서 여유만만한 표정으로 덧셈과 곱셈을 하려다가 잠시 머뭇거린다. 어떤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일어난다. 하지만 황도와 백도는 서로 5°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해와 달은
위아래
로 스쳐지나간다. 황도와 백도가 만나는 점을 교점이라고 하는데, 일식은 이 교점에서 일어난다. 해와 달이 동시에 교점 근처에서 만나는 순간이 바로 일식이 일어나는 순간이다.해와 달, 그리고 교점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19세기 활약한 독일의 물리학자 에른스트 아베는 광학분야에 여러 업적을 남겼지만 그 가운데서도 ‘아베의 회절 한계(Abbe’s diffraction limit)’가 가장 유명하다. 회절은 빛이 크기가 파장 길이 정도인 구멍을 통과할 때 물결처럼 사방으로 퍼지는 현상이다.두 점 사이의 거리가 빛 파장의 절반 이하 ...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Prologue_ 어느 나른한 오후, 날씨가 더워서 멍하니 앉아 있는 앨리스 앞으로 흰 토끼 한 마리가 뛰어갑니다. 늦었다고 중얼거리기도 하고 조끼 주머니에서 시계도 꺼내 보는 이상한 토끼네요. 호기심에 불탄 앨리스는 토끼를 쫓아 들판을 달립니다. 그리고는 토끼 굴로 따라 들어갔다가 그만 끝도 없 ... ...
계륵(鷄肋)과 암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북한강 중류에 자리 잡고 있는 강원도 춘천에는 소양댐, 춘천댐, 의암댐 건설로 생긴 인공호수가 주변 산과 어우러져 있다. 관광 명소인 춘천의 유명한 음식으로는 닭갈비가 있다. 닭갈비는 한자로 계륵(鷄肋)이라고 하는데, 이는 먹자니 먹을 것이 별로 없고 버리자니 아까운 경우를 비유해서 이르 ... ...
엽기동물 대백과사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어느 날 갑자기 혀가 사라진다면? 게다가 내 혀를 모두 갉아 먹은 동물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혀 노릇을 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면? 상상만 해도 소름 끼치는 일이지만 실제로 남의 혀를 갉아 먹고 혀 흉내를 내면서 살아가는 동물이 있다. 바로 시모토아 엑시구아(Cymothoa exigua)다.시모토아 엑 ... ...
마음을 울리는 청아한 소리 양금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눌러 음높이에 변화를 주는 연주기법인 ‘농현(弄絃)’을 할 수 없다. 대신 기타에서처럼
위아래
음을 빠르게 반복해 연주하는 트레몰로 기법이 쓰인다. 재밌는 사실은 양금에 피아노의 원형이 숨어 있다는 점이다. 중동 지역의 전통악기로 아라비아와 페르시아 인근에서 이슬람교 음악을 연주할 때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