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비
활동사진
시네마
필름
영상
영화관
스크린
d라이브러리
"
영화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하며 손톱만 한 크기의 USB메모리에 노래 수천 곡을 저장해 다니는 디지털 유목민.
영화
같은 이야기가 이렇게 빨리 현실이 될 거라고 예상한 사람이 얼마나 될까.1947년 트랜지스터가 등장한 뒤 IT기술은 짧은 시간 동안 엄청난 속도로 발전했다. 1946년 제작된 세계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ENIAC)에는 1만 ... ...
지성을 깨우는 목소리, 열정이 담긴 방송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우리 선조들의 우수한 과학기술을 취재해 소개했다. 김은지 씨는 “석빙고나 한옥,
영화
‘신기전’ 속 숨은 기술과 원리를 다뤘던 코너들이 좋은 반응을 얻었다”며 “앞으로 과학, 문화,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 관한 방송물을 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전문의는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2006년부터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다.
영화
와 드라마 시나리오를 쓰는 작가이기도 하다. 2007년 방송된 SBS 의학드라마 ‘외과의사 봉달희’의 보조작가로 활동하며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다. 대한의학회에서 건강정보심의위원회 실무위원을 맡아 잘못된 ... ...
나노광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또 투명망토, 느린 빛 등 공상과학
영화
에서나 들어봤을 법한 현상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한창이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현재 나노광학에서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전기 배선을 나노광학과 기존의 광통신 ... ...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동명소설이 원작이다.
영화
는 원작의 과학적 탐구정신을 고스란히 배제한 채 코믹한 괴기
영화
로 전락하고 말았지만 원작소설에는 작가의 깊은 생화학 지식이 담겨 있다. ‘나는 전설이다’는 현대인이 가지고 있는 미시세계에 대한 공포를 생물학적 재앙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소설은 하루아침에 ... ...
4단 변신 로봇 포인원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검은색은 모터를 움직이고, 흰색은 모터를 멈춘다.스카이워커아렉스(AREXX) | 3만 7000원
영화
스타워즈에 나오는 로봇과 닮았다. 빛과 소리를 인지하는 센서가 달려 있어 손으로 광센서를 가리거나,손뼉을 치면 걷는다. 긴 다리로 뒤뚱뒤뚱 걷는 모습이 재미있다.http://www.scimall.co ... ...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한 손길이 바빠지고 있다.오는 5월 후속편을 개봉하는
영화
‘박물관이 살아있다’는 밤만 되면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들이 살아 움직인다는 다소 황당한 설정의 이야기로 큰 인기를 끌었다. 박물관의 야간 경비인 래리 댈리(벤 스틸러 분)는 전시물들이 돌아다니며 저지른 일을 ... ...
인류와 문화 속에 깃든 수학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월드와이드웹(WWW)의 창안자 팀 버너스리가 영감을 얻은 ‘프랑켄슈타인의 전화’,
영화
‘딥임팩트’의 원작인 ‘신의 망치’등이 실려 있다. 저자가 각 단편과 관련해 직접 밝힌 에피소드도 함께 실려 있어 독자들에게 또 다른 즐거움을 준다.그림으로 보는 거의 모든 것의 역사빌 브라이슨 지음 | ... ...
인도의 권위와 자부심으로 물든 블루시티 조드푸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세계를 그려낸
영화
이니만큼 컴퓨터 그래픽의 힘을 빌려 창조된 화면일 것 같지만
영화
속의 도시는 실제로 존재하는 곳이다. 바로 인도 서북부 라자스탄 지방에 위치한 조드푸르란 도시가 그곳. 감독인 타셈 싱은 “조드푸르에서 찍은 모든 장면에는 컴퓨터 그래픽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고 ... ...
나노입자로 암 치료하는 세상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나노결정 연구단을 이끄는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의 말이다. 공상 만화
영화
에서나 나올 법한 이 말처럼 암을 조기에 발견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실현할 수 있을까.암세포가 증식할 가능성이 있다고 의심되는 부위에 실제로 암세포가 있는지 없는지는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