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30만 년 전에 태어난 현생인류!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
장 자크 후블린 교수와 모로코 고고학및유산과학국립
연구소
의 압델루아헤드 벤엔서 박사, 미국 뉴욕대 인류학과 새라 베일리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모로코의 제벨 이르후 지역에서 약 30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측되는 현생인류의 화석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 ...
[Photo] 문명의 대들보 철과 그 광물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naturehistory.com광물 수집가이자 이야기꾼. 현재 희귀광물 3000여 점을 전시하는 ‘민 자연사
연구소
’를 운영하고 있다.삼성전자에서 디스플레이 등 여러 분야에 30년 넘게 근무하다 부사장으로 퇴임했다 ... ...
Part 2. 남성 생식 연구를 허하라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해결책이 될 수 없다.결국 비호르몬제를 개발해야 한다. 김진영 차병원 여성의학
연구소
교수는 “여성은 이미 만들어져 있는 난자를 한 달에 하나씩 내보내기만 하지만 남성은 매일 수천 개의 정자를 새롭게 만든다”며 “단백질과 같은 비호르몬 물질이 관여할 수 있는 단계가 난자보다는 정자에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황제펭귄을 수호하라!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수호하라!6월 6일 미국 우즈홀 해양
연구소
(WHOI)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거주지 이전이 반짝효과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도움이 안 된다고 합니다.우리 종족의 수가 줄어드는 가장 큰 이유는 기후 변화입니다. 이상 고온 현상으로 해빙(바다 얼음)이 너무 많이 녹으면서 주요 먹잇감인 크릴이 ... ...
Intro. 수학은 지금 산업 문제 찾아 ‘열일’ 중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바쁘다 바빠! 수학이 세상 문제를 해결하느라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에너지부터 스포츠, 수자원 문제까지 수학과 무관하다고 여겼던 분야에서 수학을 필요로 하는 일이 많아졌거든요. 세상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한다는 소문에 여기저기서 ‘산업수학’을 외치고 있 ... ...
Part 1. 산업수학 창시자 존 오켄돈 인터뷰, 산업수학이 할 일은 무궁무진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이론을 이용합니다.현재는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요?산업수학 전문 컨설팅 회사인 스미스
연구소
수석 수학자로서 정부와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해 주고 있어요. 예를 들면 지진파를 이용해 석유가 매장된 곳을 효율적으로 찾는 방법과 레이더에 걸리지 않는 스텔스 항공기를 탐지하는 법, 자동차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마트폰으로 만드는 소프트웨어! 액션코딩 아이팝콘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많은 사람들이 코딩을 어려워 해요. 이에 2005년에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미디어
연구소
는 사람들이 쉽고 재미있게 코딩을 배울 수 있는 ‘스크래치’를 개발했어요. 프로그램 언어를 배워서 일일이 손으로 입력해야 하는 코드를 보기 쉬운 색깔 블록으로 만들어 초등학생도 쉽게 코딩을 배울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으로 항암제 독성 평가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강릉분원 천연물
연구소
시스템천연물연구센터 박사팀이 예쁜꼬마선충(C. elegans)을 이용해 항암제 독성을 평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식의약품, 화장품 등을 개발하는 바이오산업에서는 제품의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해 반드시 독성을 평가해야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쥐나 ... ...
[과학뉴스] 조류 독감, 인간에게 퍼뜨릴 수 있는 ‘돌연변이’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중국에서 H7N9형 바이러스의 인체 감염 사례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미국 스크립스
연구소
면역및미생물학부 제임스 폴슨 연구원팀은 H7N9이 어떤 돌연변이를 일으킬 경우 인체 감염을 유발하는지 분자 모델링 기법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감염시킬 숙주를 결정하는 헤마글루티닌(H7)을 암호화는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후각수용체가 분포하는 넓이도 ‘개 코’ 신화를 부추겼다. 미국 하워드휴스의학
연구소
의 리처드 액설 박사와 미국 하버드대 신경생물학과의 린다 벅 교수는 사람과 쥐, 개의 후각상피(콧구멍 안쪽의 윗부분으로 후각세포가 모여 있는 부분)를 관찰했다. 그리고 종에 따라 후각상피에 후각수용체가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