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hoto] 문명의 대들보 철과 그 광물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naturehistory.com광물 수집가이자 이야기꾼. 현재 희귀광물 3000여 점을 전시하는 ‘민 자연사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삼성전자에서 디스플레이 등 여러 분야에 30년 넘게 근무하다 부사장으로 퇴임했다 ... ...
- Part 2. 남성 생식 연구를 허하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해결책이 될 수 없다.결국 비호르몬제를 개발해야 한다. 김진영 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교수는 “여성은 이미 만들어져 있는 난자를 한 달에 하나씩 내보내기만 하지만 남성은 매일 수천 개의 정자를 새롭게 만든다”며 “단백질과 같은 비호르몬 물질이 관여할 수 있는 단계가 난자보다는 정자에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얼마나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 독일 에르푸르트대 심리및감염병연구소 코넬리아 베슈 박사팀은 집단주의가강한 국가(한국과 인도, 홍콩, 베트남)와 개인주의가 강한 국가(미국, 네덜란드, 독일)로 나눠, 총 2107명에게 집단면역에 대해 알리고 이후 백신 접종 의향 변화에 대해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이 보드게임으로! 1258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주요 연구 분야는 부호론과 암호론, 산업수학, 인공지능입니다. 2004년 캐나다 조합론연구소에서 주는 커크만 메달을 한국인 최초로 받았습니다. 2016년부터 대한수학회 수학문화 앰배서더로 활동 중이며, ‘감성수학레드’라는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
- [공룡은 왜?] 사체에서 물고기까지! 육식공룡의 먹잇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포유류 잡아먹는 날렵한 벨로키랍토르최근 경상남도 진주에서 중생대 백악기에 두 발로 뛰며 살았던 포유류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됐어요. 이 화석의 주인공은 몸길이가 약 10cm로 매우 작고, 뛸 때의 보폭이 약 4cm일 정도로 긴 다리를 가졌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지요. 현생 시대의 캥거루쥐와 비슷할 ... ...
- [과학뉴스] 목성 극지에서 발견한 거대한 소용돌이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표면과 자기장, 중력, 오로라, 플라스마 환경 등을 관측하고 있다. 미국 사우스웨스트연구소(SWRI) 스콧 볼턴 연구원팀은 주노가 목성에 약 5000km까지 접근해서 촬영한 관측 데이터를 분석했다. 특히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목성의 남북극 지역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목성의 적도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후각수용체가 분포하는 넓이도 ‘개 코’ 신화를 부추겼다. 미국 하워드휴스의학연구소의 리처드 액설 박사와 미국 하버드대 신경생물학과의 린다 벅 교수는 사람과 쥐, 개의 후각상피(콧구멍 안쪽의 윗부분으로 후각세포가 모여 있는 부분)를 관찰했다. 그리고 종에 따라 후각상피에 후각수용체가 ... ...
- 세계 보건 위한 백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국제백신연구소(IVI)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지역에서나 아동들이 주로 감염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이 연구를 주도한 국제백신연구소(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이하 IVI) 연구팀은 의학저널 ‘랜싯글로벌헬스’ 3월호에서 “아프리카 사하라사막 이남의 일부 지역에서는 살모넬라 타이피균과 iNTS 균이 다제내성(2가지 이상의 약제에 대한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황제펭귄을 수호하라!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수호하라!6월 6일 미국 우즈홀 해양연구소(WHOI)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거주지 이전이 반짝효과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도움이 안 된다고 합니다.우리 종족의 수가 줄어드는 가장 큰 이유는 기후 변화입니다. 이상 고온 현상으로 해빙(바다 얼음)이 너무 많이 녹으면서 주요 먹잇감인 크릴이 ... ...
- Intro. 수학은 지금 산업 문제 찾아 ‘열일’ 중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바쁘다 바빠! 수학이 세상 문제를 해결하느라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 에너지부터 스포츠, 수자원 문제까지 수학과 무관하다고 여겼던 분야에서 수학을 필요로 하는 일이 많아졌거든요. 세상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한다는 소문에 여기저기서 ‘산업수학’을 외치고 있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