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한다”는 입장이다. 왜 14일일까. 이때에 이르러서야 배아의 각 세포는 몸의 어떤
부위
로 자랄지 명확하게 결정된다. 특히 일부가 척추로 자라날 원시선(primitive streak)이 뚜렷이 드러나는게 이 시기다(과학동아 1999년 2월호 ‘인간복제 계기로 본 생명’ 참조). 따라서 14일 이전까지의 배아는 엄격한 ... ...
④ 인간 대신 난치병 앓는 누드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몸의 어느
부위
로 발달할지 정해지지 않은 단계의 세포 덩어리다. 즉 신경이나 근육 어느
부위
로 분화될지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이 세포의 일부를 떼어내 배양한 것을 ‘배간(胚幹) 세포’(embryonic stem cells)라 부른다. 배간 세포는 시험관에서 끊임없이 분열을 거듭한다. 이 세포에 ‘유전자 ... ...
감추고 싶은 비밀 똥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배가 나왔다거나 허벅지가 굵다고 생각하는 젊은 여성들이 많지만 호르몬 때문에 특정
부위
로 지방이 몰리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폐경 이후 여성호르몬의 보호효과가 사라지면서 여성들도 남성들과 마찬가지로 잉여 지방이 주로 내장으로 몰려간다. 여성들이 폐경이 되면서 팔, 다리가 ... ...
① 보다 맛있고 영양가 높게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유전자 안에 무사히 끼어들어간다는 보장이 없다는 점이다. 또 기존 유전자의 어느
부위
에 삽입될지, 몇개나 끼어들 수 있을지 모른다. 단지 산양유전자 수백개를 핵에 밀어넣고 실험의 성공을 바랄 뿐이다.설사 무사히 삽입됐다 해도 그 유전자가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는지 여부를 장담할 수 없다. ... ...
1. 하루 리듬 지배하는 생체시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이내에 죽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노화된 햄스터의 뇌에 젊은 햄스터의 생체시계
부위
를 이식한 결과 예상보다 평균 4개월 정도 더 살게 된 것이다.불로장생의 평범한 비결물론 사람에게 이런 이식 실험을 할 수는 없다. 다만 나이가 들어도 인간의 생체리듬을 제대로 유지한다면 건강하게 ... ...
쥐라기공원으로의 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과학교사인 린다였다. 생전 처음 화석을 발견했는데, 공룡뼈인지 또 공룡이라면 어떤
부위
의 뼈인지 몰라 주위에 흩어진 대원들을 불렀던 것이다. 순식간에 모여든 탐사대원들은 벌어진 입들을 다물지 못했다. 바로 초식공룡인 카마라사우루스의 이빨이었던 것이다.카마라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 ... ...
산업설비안전성평가연구센터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20cm로 커질 때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릴 것인지 정확히 알아내는 일입니다. 균열
부위
를 수리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남은지 파악해야 구체적인 보수 계획을 세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산업설비안전성평가연구센터를 이끌고 있는 김영진 소장(기계공학부 교수)의 말이다. 사고 예방에서 핵심 ... ...
월척도 과학으로 낚는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동식물성 플랑크톤을 먹는 떡붕어는 그것들을 걸러내기 위해 아가미속에 있는 새파(빨간
부위
)의 수가 토종붕어에 비해 훨씬 많고 촘촘하다. 또 자기 몸의 5.7배에 달하는 긴 창자를 지닌 떡붕어의 배를 따 보면 창자 속에는 녹조류(녹색) 등이 많이 들어 있다. 반면 토종 붕어의 창자는 떡붕어의 ... ...
살균과 소독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포함돼 있다.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독약 중 하나가 과산화수소이다. 상처
부위
에 바르면 거품이 나는 이 소독약은 부작용과 자극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생체 내의 효소에 의해 물과 산소로 분해되는데 여기서 발생된 산소가 소독제이다.염소, 플루오르, 요오드 등의 할로겐족 ... ...
고통에 대한 두려움이 고통을 유발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반복될수록 가장 뜨거움을 의미하는 파란색 불이 들어오면, 고통 자체를 관장하는 뇌의
부위
와 가깝기는 하나 이와는 다른 부분이 활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의 연구에서도 뇌의 활동이 변화한다는 것은 포착했지만 이는 고통에 의한 것으로 추정됐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고통의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